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77
한자 川原川
영어공식명칭 Cheonwoncheon River
이칭/별칭 노령천(蘆嶺川),입암천(笠巖川)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진산동|삼산동|상평동|하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천원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천원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등천리|연월리|천원리|하부리|단곡리|신면리|접지리|마석리|진산동|삼산동|상평동|하모동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75.3㎢[유역 면적]
길이 12.1㎞[유로 연장]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등천리 갈재연월리 소갈재 인근에서 발원하여 진산동, 삼산동, 상평동을 지나 하모동에서 정읍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

[명칭 유래]

천원천(川原川)입암면 천원리에서 명칭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천원(川原)’이라는 지명 자체의 유래는 찾아보기 어렵다. 천원리(川原里)는 삼국 시대 삼례도(參禮道)에 속한 천원역(川原驛)과 천원원(川原院)이 있었던 교통의 요충지였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역이 하나이니, 천원(川原)이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천원역은 현의 남쪽 25리[약 10㎞]에 있다”라는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정읍시사』에 의하면 천원천은 노령천(蘆嶺川), 입암천(笠岩川)으로도 불렸다고 하는데, 하천의 발원처가 입암산과 노령의 골짜기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자연환경]

정읍에서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넘어가는 갈재의 북쪽 사면이 천원천의 최상류이다. 갈재를 중심으로 하여 서쪽으로는 옥녀봉-방장산의 동쪽 사면과 동쪽으로는 입암산-시루봉의 서쪽 사면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발원지가 되고 있다. 발원지에서 내려온 물은 입암저수지에 모였다가 북쪽으로 완만하게 곡류하며 흘러 하모동 281-2에서 정읍천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입암면 등천리 갈재 아래에서는 백련제가, 연월리 소갈재 아래에서는 압곡제와 잔골저수지가 입암저수지로 물을 보태고 있다.

입암면 단곡리에서는 차단제에서 시작한 단곡천이 단곡리 446-5에서 천원천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하고, 독동제에서 시작한 피란천이 안양제를 거쳐 단곡리 326-1에서 천원천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하며, 입암면 마석리의 국사봉 남쪽 마석리 329 북쪽 저수지에서 시작한 마석천은 양동제와 마석제의 물을 합쳐 흐르다가 마석리 484-6에서 천원천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이후 신정동에서 발원하여 북북서로 흐르는 용산천상평동 941-6에서 천원천의 오른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현황]

천원천의 유역 면적은 75.3㎢이며, 유로 연장은 12.1㎞이다. 유역 분지가 남북으로 좁고 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입암면 봉양리지선리 일부를 제외하고 입암면 거의 전체를 집수역으로 한다. 최상류부에서부터 하천 양쪽 기슭으로 경지 정리된 농경지가 넓게 분포한다.

입암면 천원리천원천 왼쪽 기슭에 입암면 소재지가 있다. 발원지에서 정읍천 합류부까지 고속국도 제25호호남선 철도, 호남고속철도천원천과 나란히 지난다. 고속국도 제25호의 내장산IC가 입암면 소재지 북동쪽 1㎞ 인근에 있으며, 호남선 철도에 현재는 폐쇄된 천원역과 노령역이 있다. 입암저수지 동쪽에 있는 노령역의 북쪽으로는 철도산업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입암저수지 남쪽 200m쯤에 정읍입암시립공원묘원이 있으며, 용산천 합류부 서쪽 600m 지점에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손화중 장군의 묘역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