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31
한자 化龍里
영어공식명칭 Hwary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래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화룡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화룡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3.12㎢
가구수 91가구
인구[남/여] 132명[남 58명|여 74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화룡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화룡리(化龍里)라 하였다고 한다. 화룡마을은 현재 행정 마을 이름에는 들어 있지 않으나 한정마을에 있는 저수지를 화룡제라고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성포면(聲浦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화룡리, 용전리(龍田里), 산교리(山橋里), 전곡리(前谷里), 구생리(九生里), 금동(琴洞), 연동(蓮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화룡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화룡리의 영역은 동서 방향으로 긴 모양이며, 구릉지와 평야 지대가 펼쳐져 있다. 화룡리 서쪽에서는 소성천과 만수천이 합류하면서 북쪽으로 흐른다.

[현황]

2023년 5월 31일 현재 화룡리의 면적은 3.12㎢이며, 인구는 91가구, 132명[남자 58명, 여자 74명]이다. 화룡리소성면의 서북부에 있으며, 동쪽과 북쪽으로 고교리, 서쪽으로 고부면 백운리,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부덕리와 접하고 있다.

화룡리에는 한정(漢井)·구룡(九龍)·산곡(山谷)·금동(琴洞)마을이 있다. 소성천을 경계로 동쪽에는 산곡·구룡·한정마을이 있고, 서쪽에는 금동마을이 있다. 한정마을은 마을 앞에 큰 샘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뭄 때면 주변 마을 사람들이 모여 마을 뒷산인 운산(雲山) 또는 연산(燕山)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마을 동쪽에는 넓이 약 3만㎡인 한정저수지가 있다. 구룡마을은 구생(九生)마을의 구(九) 자와 용전(龍田)마을의 용(龍) 자를 따서 부르는 이름이다. 마을 앞쪽에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어 벼농사를 많이 하는 마을이다. 비가 많이 내리면 관개수로의 미흡으로 인근 마을과 함께 침수 피해를 자주 입었다. 이에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하여 마을 앞 들판에는 배수 펌프장이 설치되어 있다. 산곡마을은 서쪽에 큰 다리가 있어 예전에는 산교(山橋)[매다리]라 하였고 일명 전곡(前谷)[앞고라실]이라고도 부른다. 소성면에서도 가장 큰 들판을 끼고 있다. 산곡 앞 들판은 소성천과 만수천이 합수되는 지점으로 해마다 큰비가 내리면 수해에 시달리기도 하였다. 이에 농어촌공사에서 소성천 주변 수해 대책으로 인공 배수장을 설치하여 수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금동마을은 뒷산이 풍수지리적으로 옥녀탄금(玉女彈琴)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금동마을은 갯골이라고도 하여 과거 조수(潮水)의 영향을 받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금동마을에는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된 금동느티나무가 있다. 금동느티나무는 수형이 아름답고 수세가 좋아 마을 주민들의 모임과 행사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마을의 상징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 태종의 장남인 양녕대군의 4대손 이의손(李義孫)은 왕실의 어려움을 피하여 낙향하여 살았다고 한다. 당시 이의손이 금동느티나무를 영목(靈木)으로 지목하였다고 하는데, 금동느티나무의 잎사귀가 아래부터 피어나면 풍년이 들고, 위부터 피어나면 흉년이 된다고 전한다.

화룡리에는 화룡리보건진료소가 있다. 한정저수지는 여름이면 홍련(紅蓮)이 피어나며, 희귀종인 가시연이 자생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 한정마을에 창산군 장관에게 내려진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보물]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