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97
한자 泰興里
영어공식명칭 Taeheu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흥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흥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1.29㎢
가구수 202가구
인구[남/여] 354명[남 165명|여 189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태흥리는 조선 시대에 태인현의 관아가 있던 곳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태인이 흥왕(興旺)[번창하고 세력이 매우 왕성하다]하라는 뜻으로 태흥리(泰興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홍문리(弘門里), 쌍갈리(雙喝里), 사리(四里), 오리(五里), 칠리(七里), 거산리(居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흥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북서쪽에는 성황산이 있고, 동남쪽에는 항가산이 있어 태흥리를 감싸고 있다. 정읍북로와 태인로가 만나는 돌챙이고개와 장승배기고개가 있어 태흥리에서 옹동면 오성리로 연결된다. 돌챙이고개를 넘고 국도 제30호의 고천교 아래를 통과하여 오른쪽에 독양제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태흥리의 면적은 1.29㎢이며, 인구는 202가구, 354명[남자 165명, 여자 189명]이다. 태흥리태인면의 오른쪽 중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옹동면 칠석리, 서쪽으로 태성리, 남쪽으로 옹동면 매정리, 북쪽으로 고천리와 접하고 있다.

태흥리는 오리·사리·삼리·독양마을 등 4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항가산 아래 서쪽 방향에 오리마을, 사리마을, 삼리마을이 연속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독양마을은 고개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삼리마을 뒷산 중턱에 다천사(茶泉寺)가 있고, 다천사 마당에 있는 수령 500년의 느티나무가 2006년 12월 5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다[지정 번호 9-4-23]. 오리마을은 태인 3·1운동의 발상지였는데, 마을 모정인 정자나무 아래서 만세 운동을 사전에 모의하였다고 한다. 독양마을 대양골에는 천도교 태인교구가 있었으나 신태인읍으로 이전하여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조철제(趙哲濟)를 창교주로 하는 무극대도가 1924~1926년까지 3년에 걸쳐 치마바위 아래 태흥리 524에 120여 칸의 교당을 짓고 활동하다가 1936년에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 해산령으로 교당 건물이 철거되었다. 무극대도의 터를 미륵불교에서 인수하여 1950년 인제고등공민학교를 설립하였고, 다시 1953년 태인기술학교로 인가되어 1983년까지 3,00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폐교하였다.

태흥리는 다양한 종교가 모여 있는 곳으로 태인장로교회, 미륵불교총본부 황금사, 원불교 태인교당, 다천사, 서봉사가 있다. 태흥리의 문화유산으로 읍원정(挹遠亭)이 있다. 읍원정은 1855년 태인현감 이승경이 문학을 장려하기 위하여 건립하였고 1929년경 중건하였다. 읍원정과 관련된 태인 노휴재는 1857년 창건하였고 1933년 중건하였다. 읍원정 앞에 1857년 건립된 현감 이후승경화청 선정비(縣監 李侯承敬和淸 善政碑)와 1855년 건립된 시사제명비(詩社題名碑)가 있다. 또한 태인 김부곤 가옥[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13호]은 1920년대에 건축된 전통 한옥이다. 태인리에는 죽력고와 태인막걸리를 생산하는 태인양조장[태인합동주조]이 있다.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유학자이자 서예가인 동초(東樵) 김석곤(金晳坤)과 서예가 몽련당(夢蓮堂) 김진민(金瑱珉)이 태흥리 출신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