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19
한자 山城里
영어공식명칭 Sans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산성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산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4.17㎢
가구수 103가구
인구[남/여] 279명[남 146명|여 133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산성산(山城山) 아래 있는 지역이라 하여 산성리(山城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동촌면(東村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행정리(杏亭里), 노탄리(蘆灘里), 삼리(三里), 칠전리(七田里), 두곡리(斗谷里), 정동리(井洞里)와 고현내면(古縣內面) 원촌리(院村里),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신제리(新堤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산성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가 되었다.

『호구총수』[1789년]의 동촌면에 기록된 마을 가운데 구촌(鳩村), 칠전(麥田), 행정(杏亭), 노탄(盧灘)이 산성리에 속하는 마을로 보이며, 『1872년 지방지도』[태인]에는 노탄(蘆灘)·구촌이 찾아진다. 또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년]에는 삼리·칠전리(柒田里)·행정리·노탄리가, 또 1936년 간행된 『정읍군지』에는 삼리·칠전리(柒田里)·행정리·노탄리가, 1965년 간행된 『태인지』에는 우동(牛洞)·창동(倉洞)·대칠(大七)·소칠(小七)·행정(杏亭)·구촌이, 1974년 간행된 『증보 정읍군지』에는 행정리·노탄리(蘆灘里)·삼리·칠전리(七田里)·두곡리·정곡리(井谷里)[태인군 동촌면]·원촌리(院村里)[태인군 고현내면]·신제리(新題里)[태인군 남촌일변면] 각 일부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산성리는 산성산, 곧 지금의 화장산이 북쪽 경계에 자리하고 있다. 산성리 남쪽 경계를 따라 동진강이 일부 지나간다. 산성리 우동(牛洞)마을에는 우동저수지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산성리의 면적은 4.17㎢이며, 인구는 103가구, 279명[남자 146명, 여자 133명]이다. 산성리의 자연 마을로는 우동마을, 산성(山城)마을, 행정(杏亭)마을, 대칠(大漆)마을, 소칠(小漆)마을, 삼리마을이 있다. 산성리의 보건 의료 기관으로 산성보건진료소가 있다. 산성리의 문화유산으로 백광언(白光彦)·김덕린(金德麟)·송지순(宋之順)·이지시(李之詩)·이지례(李之禮)·송인신(宋寅臣)·권극평(權克平)·최응립(崔應立)·백함생(白咸生)을 향사하는 모충사(慕忠祠)가 있다. 산성리국도 제30호가 남쪽으로 통과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