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39
한자 斗月里
영어공식명칭 Duwol-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두월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두월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6.97㎢
가구수 115가구
인구[남/여] 178명[남 93명|여 8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중심 마을인 상두리(上斗里)·하두리(下斗里)에서 명칭을 따서 두월리(斗月里)라 하였으며, 지형이 말처럼 생겨, 말울 또는 두월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에 상탄리(上灘里), 용강리(龍江里), 하두리, 사교리(沙橋里), 상신리(上新里), 영동(永洞), 상두리와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용운리(龍雲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두월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가 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에는 상두(上斗)·사근다리[沙橋]·영동(永洞)이, 『정읍군지』[1936년]에는 상두리(上斗里)·하두리(下斗里)·사근다리[沙橋里]·용강촌(龍江村)·자연동(紫煙洞)·영동(永洞)이, 『태인지』[1965년]에는 고사교(古沙橋)·사근다리[沙覲]·방성(訪聖)·상두(上斗)·하두(下斗)·자연동(紫煙洞)·영동(靈洞)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두월리에 상탄리(上灘里)·용강리(龍江里)·하두리(下斗里)·사교리(沙橋里)·상신리(上新里)·영동(永洞)·상두리(上斗里)[태인군 산내일변면]·용운리(龍雲里)[태인군 산내이변면] 각 일부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일제 강점기 지도에는 두월리 지역에 용강리와 강 건너에 용강촌이 표기되어 있으며, 산탄리(山灘里)라는 지명도 보인다. 산탄리는 상탄리로, 1928년 운암댐, 1965년 섬진강댐이 준공되면서 수몰되었다.

[자연환경]

두월리산외면 목욕리와 접하고 있으며, 두월2리 마을 뒤로는 성주산이, 두월3리에는 비룡봉이 있다. 또 남쪽으로는 1965년 준공된 섬진강댐으로 인하여 수위가 높아 옥정호를 마주하고 있다. 최제학(崔濟學)의 『습재실기(習齋實紀)』에는 두월리에 속한 사근다리[사교]마을에 대하여 산이 깊고 촌마을이 외져 행적을 비밀리에 할 수 있어 면암 최익현이 머물렀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만큼 두메산골이라 할 수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6.97㎢이며, 인구는 115가구, 178명[남자 93명, 여자 85명]이다. 두월리산내면의 동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암면 운정리, 서쪽으로 예덕리, 남쪽으로 종성리, 북쪽으로 산외면 목욕리와 접하고 있다.

두월리의 자연 마을로 두월1리 사교[사근다리]마을, 두월2리 상두마을, 두월3리 자연동마을, 방성동마을이 있다. 방성동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가 있다. 또 너듸마을 야산에는 백제 고분군이 10여 기가 분포한다. 사교마을달고운청정사교마을로서 농촌 체험 휴양 마을로 지정되었다. 농촌 체험 관광 센터는 숙박 및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오디 따기 체험, 모싯잎송편 만들기, 고구마 캐기, 고사리 채취 체험, 떡메치기[인절미 만들기], 마을 둘레길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선비 문화 체험 시설인 우리누리문화생활관이 있다.

사교마을과 방성마을 사이로 지방도 제715호가 지나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