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67 |
---|---|
한자 | 上坪洞 |
영어공식명칭 | Sangpye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상평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상평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상평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상평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상평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상평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상평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상평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으로 개편 |
성격 | 법정동 |
면적 | 4.24㎢ |
가구수 | 684가구 |
인구[남/여] | 1,361명[남 676명|여 685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상평동(上坪洞)은 큰 들의 위쪽이 되므로 웃들 또는 상평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군 서이면(西二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당고리, 서기리, 삼거리, 상평리, 산우리, 향지리, 성재리, 칠정리 일부와 고부군 소정면의 와룡리, 향자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상평리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상평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상평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상평동으로 개칭되어 전라북도 정주시 상평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저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이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상평동은 마치 나비 모양의 지세를 갖고 있는데, 왼쪽 날개 부분은 태봉과 계동산을 연결하는 산지가 둥글게 에워싸고 있으며, 오른쪽 날개 부분은 죽지봉과 망상봉을 연결하는 산지로 연결되어 있다. 중앙의 몸통 부분에 해당되는 낮은 평지는 천원천과 용산천이 합류하면서 형성한 범람원에 해당된다. 이렇게 합류된 하천은 하모동에서 정읍천과 합류한다. 원상평마을은 범람원상에 조성된 마을이다. 나머지 마을들은 대부분 양쪽 산지의 산록완사면 또는 산간 분지에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1월 현재 상평동의 면적은 4.24㎢이며, 인구는 684가구, 1,361명[남자 676명, 여자 685명]이다. 상평동은 동쪽으로 연지동, 초산동, 서쪽으로 소성면 주천리, 남쪽으로 삼산동, 과교동, 북쪽으로 하모동과 접하고 있다. 법정동 상평동의 관할 행정동은 상교동이다.
상평동에 속한 마을로는 원상평, 산재, 칠정, 신시, 용홍, 음성, 향지 등이 있으며, 대부분 300년에서 400년 이상 된 마을들이다. 대부분 밭농사와 논농사가 주요 경제 활동이다. 계동산 아래에는 동학혁명에 앞장선 손화중 장군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으며, 맞은편 태봉 아래 쪽에 서신초등학교가 있다. 천원천과 평행하게 남북 방향으로 고속국도 제25호 및 호남선 철로가 지나가고 있다. 호남선 철로 오른쪽으로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정읍시 종합경기장, 정읍체육공원이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