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35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능교신기길 14[능교리 61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신기 십장생마을 정보화 시범 마을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신기 십장생마을 녹색 농촌 체험 마을 지정
개설 시기/일시 2011년연표보기 - 신기 십장생마을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지정
소재지 신기 십장생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능교신기길 14[능교리 614]지도보기
성격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능교리에 있는 농촌 체험 휴양 마을.

[명칭 유래]

신기 십장생마을은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청정 마을이다. 옹달샘, 거북바위, 소나무 숲, 영지버섯, 사슴 등이 마을 곳곳에 숨어 있어 ‘십장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당시 파주, 강원, 철원, 공주 등에서 화를 피하여 온 사람들이 내장산 자락에 자리를 잡아 마을 이름이 새 터를 뜻하는 ‘신기(新基)’가 되었다. 마을 주민 대다수가 천주교 신자이다.

[형성 및 변천]

신기 십장생마을은 2003년 ‘정보화 시범 마을’로 선정되었다. 2005년에는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에 의하여 ‘녹색 농촌 체험 마을’로 지정되었고, 2011년 2월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사업자로 지정되었다.

[자연환경]

신기 십장생마을은 뒤로는 운주산과 감투봉이 있고, 산 아래 좌우로 논과 밭이 있으며, 앞으로는 냇물이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형 산촌 마을이다.

[현황]

농촌 체험 휴양 마을이란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마을협의회 또는 어촌계가 마을의 자연환경, 전통문화 등 부존자원을 활용하여 도시민에게 생활 체험·휴양 공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 농림수산물 등을 판매하거나 숙박 또는 음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을 말한다. 신기 십장생마을은 청소년을 위한 야생화 관찰 체험과 다슬기 잡기 체험, 일반인을 위한 둥근마·매실·블루베리 등 농산물 수확하기, 쑥개떡 만들기, 구절초 비누 만들기 등의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신기 십장생마을칠보성당 능교공소 및 조계종 사찰인 운주사, 운폭정 등 역사 및 종교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마을이다. 신기 십장생마을 입구에는 20m 높이의 절벽에서 떨어지는 운주폭포가 있다.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아지면 시원한 소리와 함께 폭포가 떨어져 정읍시의 여름을 대표하는 절경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