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대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426
한자 三南大路
이칭/별칭 삼남로,전공주도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박노석

[정의]

조선 시대 한양에서 전주-태인-정읍을 거쳐 갈재를 넘어 장성-광주-해남-제주에 이르는 도로.

[개설]

삼남대로(三南大路)는 조선 시대 한양에서 삼남(三南)[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으로 통하는 대로(大路)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한양에서 제주에 이르는 노선을 삼남로 또는 삼남대로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삼남대로의 노선은 백제 시대에서부터 있었을 것이며, 고려 시대에는 전공주도(全公州道)로 불리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 시대 정읍에서 장성으로 넘어가는 갈재와 관련된 전설들이 많이 전하고 있다.

전공주도[전주-공주도]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에 있었던 삼례역(參禮驛)을 중심으로 고산(高山)-연산(連山)-진잠(鎭岑)-회덕(懷德)에 이어지는 역로와, 전주-정읍, 전주-부여 등을 잇는 역로이다. 전공주도에는 21개 역이 소속되었다. 전공주도에 속하는 역은 삼례역을 비롯하여 양재(良才)[익산시 여산면], 앵곡(鶯谷)[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옥포(玉庖)[완주군 경천면], 재곡(材谷)[익산시 함열], 채평(彩平)[익산시], 진림(榛林)[김제시], 내재(內材)[김제시], 고원(苽原)[정읍시 고부면], 신보(新保)[정읍시 태인면], 거산(居山)[정읍시 태인면], 천원(川原)[정읍시], 소안(蘇安)[군산시 임피면], 진현(進賢)[금산시], 진화(珍化)[진산], 제원(濟元)[금산군], 경천(敬天)[공주시], 평천(平川)[논산시], 득연(得延)[공주시], 이도(利道)[공주시], 정민(貞民)[대전광역시 대덕구] 등이다.

전공주도의 남쪽에 있었던 길은 승라주도(昇羅州道)[승주-나주도]이다. 승라주도는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었던 청엄역(靑嚴驛)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서남해안 일대에 뻗쳐 있는 역로이다. 승라주도에는 30개 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30개 역중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지역에 속하는 역은 없었다.

또한 삼남대로의 길은 고려 시대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받아 나주로 몽진하는 과정에서 거쳐간 길이기도 하다. 1010년(현종 1)에 거란의 침입을 받은 현종은 1010년 12월 28일[임신] 몽진길에 올랐으며, 1011년 1월 6일[경진] 천안에 이르렀고, 7일에는 공주를 지났다. 그리고 8일[임오]에는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에 있던 삼례역에 도착하였다.

삼례역에서 전주절도사 조용겸과 약간의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으나 나주로 가는 피난길이 급하여서 전주에 들르지 않고, 8일 장곡역(長谷驛)[앵곡역]에서 유숙하였다. 현종은 13일 나주에 도착하였으며, 15일 거란군이 물러났다는 소식이 현종에게 전하여졌다. 21일 나주를 출발하여 복룡역에 도착하여 유숙하였다. 24일 고부군에 도착하여 유숙하고, 25일 금구현에 도착하여 유숙하였으며, 26일 전주에 도착하여 7일간 유숙하였다. 29일에는 거란의 성종이 압록강을 건너 퇴각하였다. 2월 3일[정미] 전주를 출발하여 여양현(礪陽縣)[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에 도착하여 유숙하였다. 4일 공주에 도착하여 6일간 유숙하고, 23일에는 개경 수창궁으로 환궁하였다.

현종이 나주로 갔다가 개경으로 돌아간 과정은 『고려사(高麗史)』에는 개경(開京)→광주(廣州)→비뇌역(鼻腦驛)→장곡역(長谷驛)→인의역(仁義驛)→수다역(水多驛)→노령(蘆嶺)→나주(羅州)→복룡역(伏龍驛)→고부군(古阜郡)→금구현(金溝縣)→전주(全州)→여양현(礪陽縣)→공주(公州)→청주(淸州)→개경(開京) 수창궁(壽昌宮)으로 환궁한 것으로 되어 있다.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개경(開京)→광주(廣州)→비뇌역(鼻腦驛)→양성(陽城)→사산현(蛇山縣)→천안부(天安府)→공주(公州)→파산역(巴山驛)→여양현(礪陽縣)→삼례역(參禮驛)→장곡역(長谷驛)→노령(蘆嶺)→나주(羅州)→복룡현(伏龍縣)→전주(全州)→공주(公州)→청주(淸州)→개경(開京) 수창궁(壽昌宮)으로 환궁한 것으로 되어 있다.

[건립 경위]

조선 시대 교통과 통신 체제는 사회·경제적인 의미보다는 주로 군사와 행정상의 의미가 컸으며, 한성부를 중심으로 전국의 도로망을 개편하였다. 주요 도로망은 문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는 9개 대로,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는 10개 대로, 신경준의 『도로고(道路考)』에서는 6개 대로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 도로망의 차이는 전혀 새로운 도로가 신설된 것이 아니라, 종착지나 분할 노선의 설정 여부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황]

신경준의 『도로고』에 따르면 제5로 제주로는 다음과 같다[숫자는 양 지역 간의 거리 표시이다].

경성(京城)→10동작진(銅雀津)→20과천(果川)→13갈산점(葛山店)→7사벌근천(伐沙斤川)→10소근천(沙斤川)[미륵당(彌勒堂)]→30수원부(水原府)→20오산신점(烏山新店)[경로 미륵당(徑路;彌勒堂)]→20중두점→10오매(烏梅)→2청호역(菁好驛)[한강→별원(漢江→別院)]→20석우점(石隅店)→20청호역(菁好驛)→8진위현(振威縣)→18갈원(葛院)→12소사점(素沙店)→3아주교(牙州橋)→15성탄역(成歡驛)→10수헐원점(愁歇院店)→10직산현(稷山縣)→7병장생우(竝長栍隅)→13비토리(肥土里)→10천안군(天安郡)→5삼거리(三巨里)→15금제역(金蹄驛)→10덕평(德平)→10원기(院基)→5차령(車嶺)→5인제원(仁諸院)→10광정창(廣亭倉)→10궁원(弓院)→15모로원(毛老院)→20신점(新店)→5금강(錦江), 공주(公州)→13효가점(孝家店)→15판치(板峙)→15경천역(敬天驛)→12니성현(尼城縣)→10초포교(草浦橋)→12사교(沙橋)→10은진현(恩津縣)→30여산부(礪山府)→20탄현(炭峴)→20삼례역(參禮驛)→50금구현(金溝縣)→20원교(院橋)→20태인현(泰仁縣)→20대교(大橋)→13정읍현(井邑縣)→22천원(川院)[대교(大橋)]→30천원(川院)[사객경유]→20원덕리(院德里)→20청암역(靑岩驛)→10장성부(長城府)→40선암역(仙岩驛)→50나주(羅州)→40부소원(夫小院)→30영암군(靈岩郡)[소사(素沙)→탁천(濁川)→아산후천신점(牙山後川新店)→공주(公州)→유구역(維鳩驛)→정산(定山)→은산역(銀山驛)→임천(林川)→함열(咸悅)→임피(臨陂)→만경(萬頃)→부안(扶安)→고부(古阜)→흥양(興陽)→무장(茂長)→영광(靈光)→함평(咸平)→무안(務安)→나주 남창(羅州 南倉)→무안 부남창(務安 扶南倉)→영암(靈岩)[사성분행대로(使星分行大路)] →20월남점(月南店)→10석제원(石梯院)→20별진역(別鎭驛)→30해남현(海南縣)→25해창(海倉)→25관두량(舘頭梁)→제주(濟州).

김정호의 『대동지지』 정리고(程里攷)에 기록된 해남로의 노선은 다음과 같다[숫자는 양 지역 간의 거리 표시이다].

경성(京城)→10동작진(銅雀津)→8인덕원(仁德院)→3갈산점(葛山店)→9사근평(肆覲坪)→5지지대(遲遲臺)→15수원(水原)→15하류천(下柳川)→15중미현(中彌峴)→8오산점(烏山店)→12진위(振 威)→10대백치(大白峙)→8갈원(葛院)→2가천(加川)→10소사점(素沙店)→3아교(牙橋)→7홍경비(弘慶碑)→10성환역(成歡驛)→5수헐원(愁歇院)[실음소(悉音所)]→5직산(稷山)→7병장승우(幷長承 隅)→13비토리(圮土里)→10천안(天安)→5삼거리(三巨里)[분기(分岐)]→15금제역(金蹄驛)→10덕평점(德坪店)[분기(分岐)]→10원기(院基)→5차령(車嶺)→5인제원(仁濟院)→5광정역(廣程驛)→10궁원(弓院)→15모로원(毛老院)[분기(分岐)]→15금강진(錦江津)[분기(分岐)]→10효가리(孝家里)→20판치(板峙)→15경천역(敬天驛)[분기分岐)]→10노성(魯城)[분기(分岐)]→10초포교(草浦橋)→10사교(沙橋)→10은진(恩津)→20황화정(皇華亭)→10여산(礪山)[분기(分岐)]→10탄현(炭峴)→30삼례역(參禮驛)[분기(分岐)]→50금구(金溝)→20원평교(院坪橋)→20태인(泰仁)[분기(分岐)]→20대교(大橋)→10정읍(井邑)[분기(分岐)]→20천원(川原)→10노령(盧嶺)→10원덕리(院德里)→20단암역(丹巖驛)→10장성(長城)[분기(分岐)]→40선암역(仙巖驛)→50나주(羅州)→30부소원(夫所院)→40영암(靈巖)→20월남점(月南店)→20석제원(石梯院)[분기(分岐)]→20별진역(別珍驛)→30해남(海南)→40남리역(南利驛)[분기(分岐)]→30우수영(右水營).

『증보문헌비고』 「여지고」, 도리조에 기록된 제주로는 다음과 같다.

서울→10동작진(銅雀津)→20과천(果川)→10갈산참(葛山站)→노량진(鷺梁津)경유→10노량(鷺梁)→22금천(衿川)→28미륵당(彌勒堂).)→20미륵당(彌勒堂)→유천(柳川)→25중저(中底)→10청호역(菁好驛)[한강진(漢江津)]→용인읍(龍仁邑)→40청호역[이상 소로(小路)]→8진위(振威)→30소사(素沙)→20성환역(成歡驛)→40천안(天安)→18금제역(金蹄驛)→10덕평(德坪)→15차령(車嶺)→20광정창(廣亭倉)→25모로원(毛老院)→25공주(公州)→40경천역(敬天驛)→10노성(魯城)→10초포교(草浦橋)→10사교(沙橋)→10은진(恩津)→30여산(礪山)→20탄현(炭峴)→20삼례역(參禮驛)→50금구(金溝)→40태인(泰仁)→30정읍(井邑)→20천원참(川院站)→40청암역(靑巖驛)→10장성(長城)→40북창(北倉)→40나주(羅州)→30부소원(夫小院)→40영암(靈巖)→30월남참(月南站)→50해남(海南)→40관두량(館頭梁)→970제주(濟州)[수로(水路)]

삼남대로는 이처럼 전북특별자치도 구간에서는 여산→삼례→금구→태인→정읍을 거쳐 장성으로 넘어가는 길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