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709
한자 宋洙淵
영어공식명칭 Song Suye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원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송수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6일 - 송수연 태인 3·1운동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5월 15일 - 송수연 광주지방법원 정읍지청에서 징역 1년 6월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19년 9월 11일 - 송수연 고등법원에서 상고 기각으로 형 확정
몰년 시기/일시 1951년연표보기 - 송수연 사망
출생지 태창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상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상산리 지도보기
활동지 태인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정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송수연(宋洙淵)[1895~1951]은 1895년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서 태어나 옹동면 상산리에서 거주하였다. 1919년 송수연은 고종황제의 인산(因山)에 참여하기 위하여 김현곤(金玹坤)·박지선(朴址宣)과 함께 상경하였다. 송수연 등은 서울에서 3·1운동을 목격한 뒤 「독립선언서」를 지니고 내려와서 태인에서도 만세 운동을 일으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송한용(宋漢鏞)·송진상(宋鎭相)·오석흥(吳錫興)·송영근(宋榮根)·김진호(金鎭皓)·유치도(柳致道)·김순곤(金淳坤)·송덕봉(宋德奉)·김진근(金鎭根)·백복산(白福山)·김용안(金龍安)·최민식(崔民植)·김부곤(金富坤)과 함께 비밀 결사 15인회를 조직하고 태인 장날인 3월 16일을 거사일로 정한 뒤 각자 역할을 분담하였다. 송수연은 태극기 300매를 제작하였고, 당시 태인면사무소 서기이던 김현곤은 면사무소의 등사기를 이용하여 12일과 13일 밤에 「독립선언서」를 인쇄해 두었다.

송수연 등은 1919년 3월 16일 사람이 많이 모이기를 기다렸다가 정오에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앞장서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기 시작하였다. 면사무소 부근에서부터 시작된 만세 행렬에 주변의 사람들이 호응하였고, 상인들은 상점 문을 닫고 시위 행렬에 가담하였다. 수천 명으로 불어난 시위 군중은 곳곳에서 시위를 계속하다가 날이 어두워지자 태인을 둘러싼 사방의 산꼭대기에 올라가 봉화를 올리고 밤새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시위 군중 가운데 일부는 기름을 묻힌 솜방망이에 불을 붙여 주재소 안으로 던지기도 하였다. 태인 3·1운동은 열흘 가까이 산발적으로 지속되었으며, 송수연김현곤 등을 비롯하여 80여 명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송수연은 1919년 5월 15일 광주지방법원 정읍지청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월형을 선고받았고, 9월 11일 고등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송수연은 1951년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