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710 |
---|---|
한자 | 金廷述 |
영어공식명칭 | Gim Jeongsul |
이칭/별칭 | 광국(光國),포석(圃石),김연술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원기 |
출생 시기/일시 | 1869년 3월 4일![]() |
---|---|
활동 시기/일시 | 1899년 - 김정술 정읍 무성서원 장의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06년 - 김정술 최익현 의진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김정술 구국단 결성 주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3월 - 김정술 체포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3월 18일 - 김정술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선고 |
몰년 시기/일시 | 1952년 4월 5일![]() |
추모 시기/일시 | 1977년![]()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출생지 | 신배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신배마을![]() |
학교|수학지 | 무성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
활동지 | 정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활동지 | 경성 - 서울특별시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정의]
일제 강점기 정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김정술(金廷述)[1869~1952]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광국(光國), 호는 포석(圃石)이다. 아버지는 김영호(金永昊)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김연술로도 알려졌다.
[활동 사항]
김정술은 1869년(고종 6) 3월 4일 전라도 태인군 산외면 신배마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신배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도강 김씨 일가인 김영상(金永相)에게 글을 배웠고, 이후 소휘면(蘇輝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전우(田愚)·박만환(朴晩煥) 등과 교유하였으며, 1899년에는 스승 소휘면의 유지를 받들어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장의(掌議)를 맡고 강학 활동을 하였다.
1906년 최익현(崔益鉉)이 임병찬(林炳贊)과 더불어 무성서원에서 태인의병[병오창의]을 일으킬 때 김정술은 태인의병에 참여하여 지역 유생들에게 의병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가족들과 함께 경성으로 이주하였고, 1919년 3·1운동 이후 윤철(尹喆)·어대선(魚大善)·유학규(柳學圭) 등과 함께 구국단(救國團)을 조직하였다. 김정술을 비롯한 구국단원들은 1921년 3월까지 독립공채를 교부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상해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을 지원하였다.
1920년 8월 임시정부에서 파견된 고일정(高一政)은 구국단원 윤철을 만나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함께 조선 각 지역의 새로운 행정 기관 설치를 요구하였다. 고일정은 윤철에게 행정 기관 설치에 필요한 규칙서와 사령서 용지, 군자금 납입 명령서 및 대통령인과 대한군정부 군사령장인 등 인장을 건네주었다. 윤철은 고일정에게 건네받은 문서와 인장들을 김정술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에게 보이고 독립운동 자금 모집에 힘써 줄 것을 부탁하였다. 이후 김정술 등은 조선 13도에 선정사(宣政使), 군과 면 지역에 관장(管長)을 두면서 선정사와 관장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려고 하였다.
김정술·윤철·유학규·이중혁(李重赫) 등은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 외에도 사회주의 사상에 기반한 노농 정부 건설을 목표로 활동을 펼쳐 나갈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노농회(勞農會) 및 소농회(小農會)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조직 운영에 필요한 자금은 부호들을 중심으로 매년 추수하는 곡식 100석을 기준으로 금액을 정한 후 모집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유학규가 노농 정부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토지를 담보로 돈을 빌리던 중 경기도 경찰부에 발각이 되었고, 일제 경찰은 독립운동 자금 모집 및 노농 정부 건설과 관련한 증거물을 찾아 주요 인물들을 체포하였다. 이때 김정술도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고, 1922년 3월 1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김정술은 1952년 4월 5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정술의 공적을 기려 1977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