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76
한자 遊仙寺
영어공식명칭 Yuseonsa Temple
이칭/별칭 두승사,도순사,영주사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영원로 644-224[남복리 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 유선사 석조약사여래 입상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유선사 대웅전과 요사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유선사 범종각 조성
현 소재지 유선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영원로 644-224[남복리 2]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의상대사
전화 063-536-9666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남복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

[건립 경위 및 변천]

유선사(遊仙寺)정읍시 고부면 두승산(斗升山) 정상에 있으며, 정읍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사찰이다. 유선사는 통일 신라 시대 의상(義湘)[625~702]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의상이 신선이 노닐다가 승천한 자리에 주장자를 꽂아 표시를 하여 두고, 절을 지으라고 하였다고 하여 ‘유선사’라고 이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하기는 한다.

한때 폐찰되었던 유선사는 몇 차례의 중건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두승사(斗升寺), 도순사(都順寺 또는 道順寺), 영주사(瀛州寺)라고도 불렸으며, 광무[1897~1906] 연간에는 일지가 ‘유선사’라고 칭하였다고 전한다. 폐찰이 된 유선사지에 1982년 비구니 성수(性洙)가 들어와 1989년 석조 약사여래입상을 조성하였고 1990년에는 대웅전과 요사를 건립하였다. 1997년에는 범종각을 조성하고 범종을 봉안하였다. 유선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활동 사항]

유선사는 부처의 원력과 가피를 구하는 기도처이다. 2023년 현재 성수가 주석하면서 장애인들을 돌보는 등 사회봉사를 실천하고 있다. 신도회가 있으며 신자는 100여 명 정도이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유선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대웅전 내에는 비로자나불,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 등 삼존불(三尊佛)이 봉안되어 있고 삼존불 뒤에는 삼세후불탱화가 있다. 삼존불은 1990년 영암 월출산 도갑사에서 탱화와 함께 모셔 온 것이다. 삼존불과 더불어 나반존자와 산신, 신중단, 칠성단 등이 함께 모셔져 있다.

대웅전 왼쪽에 약함을 들고 서 있는 석조 약사여래입상이 있다. 높이 5m가 넘는 석조 약사여래입상 광배의 전면에는 오여래입상(五如來立像)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미륵불이 새겨져 있다. 대웅전으로 오르는 계단 왼쪽에 요사채가 있고 오른쪽에는 호랑이상이 있다. 대웅전 건너편에는 범종각이 조성되어 있다. 대웅전 뒷동산에는 하늘에 천제를 올리고 기우제를 지내던 칠성대(七星臺)가 있으며, 절 뒤쪽에는 의상이 꽂았던 주장자가 자라난 것이라고 하는 회화나무 8그루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