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72
한자 井邑女子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Jeongup Girls’ High School
이칭/별칭 정읍여고,정읍여고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56-11[상동 1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인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43년 3월 31일 - 정읍공립고등여학교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43년 5월 26일연표보기 - 정읍공립고등여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47년 9월 30일연표보기 - 정읍공립고등여학교에서 정읍공립여자중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 5월 30일연표보기 - 정읍여자고등학교와 정읍여자중학교 분리
이전 시기/일시 1971년 3월 2일 - 정읍여자고등학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장명동 209-1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 188의 현 위치로 신축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9일 - 정읍여자고등학교 ‘아름다운 학교’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1일 - 정읍여자고등학교 ‘특색 있는 학교 만들기’ 연구 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3월 1일 - 정읍여자고등학교 사교육 절감 창의 경영 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3월 1일 - 정읍여자고등학교 예술[음악·미술] 교육 과정 거점 학교, 인권 교육 시범 학교, 국토 사랑 체험 시범 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2년 - 정읍여자고등학교 핸드볼 팀 2022 핸드볼코리아 전국 중·고핸드볼선수권대회 3위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2년 - 정읍여자고등학교 핸드볼 팀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동메달 획득
최초 설립지 정읍공립고등여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초산로 110[장명동 209-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정읍여자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56-11[상동 188]
현 소재지 정읍여자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56-11[상동 188]지도보기
성격 공립 고등학교
전화 063-535-4546[교무실]|063-535-4549[행정실]
홈페이지 https://school.jbedu.kr/chongup-gh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형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비전 아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학생, 스스로 진로를 찾고 준비하는 자주적인 학생, 정서적 안정감을 갖춘 심미적인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자율(自律)’이다.

[변천]

정읍여자고등학교는 1943년 3월 31일 4년제 정읍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43년 5월 26일 개교하였다. 1947년 9월 30일 정읍공립고등여학교에서 6년제 정읍공립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1년 5월 30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면서 정읍여자중학교[현 샘고을중학교]와 정읍여자고등학교로 분리 인가되었다. 1971년 3월 2일 정읍시 장명동 209-1에서 정읍시 상동 188의 현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2006년 12월 9일 ‘아름다운 학교’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3월 1일 ‘특색 있는 학교 만들기’ 연구 학교에 지정되었고 2012년 3월 1일 사교육 절감 창의 경영 학교에 지정되었다. 2015년 3월 1일 예술[음악·미술] 교육 과정 거점 학교, 인권 교육 시범 학교, 국토 사랑 체험 시범 학교에 지정되었다. 2022년 핸드볼 팀이 2022 핸드볼코리아 전국 중·고핸드볼선수권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였고, 제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교육 활동]

정읍여자고등학교는 학기 집중 이수제를 도입하여 1학년은 음악과 미술 집중 이수, 2학년은 미술 창작과 음악 연주 집중 이수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어와 중국어 등 제2 외국어 무학년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실험 실습 및 예능 교과 위주로 블록 타임제를 적용한 수업 시간을 운영하고 있다.

특색 사업으로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인문 역사 분야 창의 인재 육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읍 지역의 역사와 인문학적 요소를 알아 가고 이를 바탕으로 이 시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는 정읍 천변 꽃길 걷기, 정읍 출신 작가와의 만남, 『조선왕조실록』 둘레길 걷기, 정읍 무성서원 바로 알기, 동학농민혁명 바로 알기 등이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병기/ 작곡 박찬석]

태백에 어린 서기 내장산 위에 내렸고/ 질펀한 정읍 평야 이 산 밑에 누웠네/ 강산 정기 모인 곳에 우리 학교 섰으니/ 이 겨레의 참 딸들을 고이 길러 내네/ 하늘빛 하늘빛 거울 삼아서/ 한마음 변함없이 길이 빛내세

2. 교목은 느티나무이다.

3. 교화는 백합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19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34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8명 등 50명의 교원과 15명의 직원 등 총 65명이 재직하고 있다. 강당, 체육관, 과학탐구실, 사회탐구실, 멀티미디어실, 영어실, 통합교과실, 수학실, 음악실, 미술실, 가사실, 방송실, 상담실, 도서실, 보건실, 역사관, 기숙사[35실], 식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5일 제75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만 801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 『정읍군사』 (정읍군, 1985)
  • 『정읍시사』 (정읍시사편찬위원회, 2003)
  • 정읍여자고등학교(https://school.jbedu.kr/chongup-gh)
  • 학교알리미(https://www.school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