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리의 부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11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만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 - 「만수리의 부부」 『정읍의 전설』에 수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9월 25일 - 「만수리의 부부」 『정읍의 전설』 증보판에 수록
관련 지명 만수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만수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마을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오만석|김수복|원님
모티프 유형 지명 유래담|사랑담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만수리에서 금슬 좋은 한 부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만수리의 부부」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만수리(萬壽里) 마을의 지명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만수리의 부부」는 정읍 출신 시인이자 수필가인 김동필(金東必)[1939~2006]이 1989년 채록하기 시작하여 1991년에 간행한 『정읍의 전설』에 수록되었고, 2001년 9월 25일 간행한 『정읍의 전설』 증보판에도 수록되었다.

[내용]

조선 초기 두승산(斗升山) 산기슭에 오만석과 김수복이라는 금슬 좋은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몹시 가난하였다. 남편 오만석은 평범하였으나 부인 김수복은 보통 여인이 아니었다. 항상 남편을 아끼고 존경하며 남편을 출세시키기 위하여 남편에게 공부할 것을 권유하였는데, 무식한 남편은 공부에 별 뜻이 없었다.

어느 날 고부에 사냥을 무척 좋아하는 원님이 새로 부임하였다. 원님은 사냥을 하기 위하여 부임 후에 곧장 두승산의 산길을 잘 아는 길잡이를 구하였다. 마침 오만석이 산길에 가장 밝다고 하기에 원님은 오만석을 곧바로 불러들였다. 오만석은 원님의 눈에 띄어 출세를 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일이 고된 줄도 모르고 사냥길 안내를 하였지만 원님은 끝내 돌아보지 않았다. 그러자 부인 김수복은 오만석에게 간절한 마음으로 비천한 일을 그만두고 과거 공부하기를 권하였고, 오만석 역시 공부를 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로부터 10년을 부인은 남편의 뒷바라지를 하였고, 남편은 아내의 사랑과 격려에 힘입어 결국 과거에 합격할 수 있었다.

그런데 행복을 누리려던 찰나에 별안간 부인 김수복이 중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 후 남편 오만석은 절망 속에서 벼슬길에 나가는 것도 포기하고 오직 부인만을 그리워하다가 고향에서 여생을 마쳤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부부의 가운데 이름자인 ‘만(萬)’ 자와 ‘수(壽)’ 자를 따서 동네 이름을 ‘만수리’라 부르며 부부의 명복을 빌었다.

[모티프 분석]

「만수리의 부부」는 ‘만수리’라는 지명 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하고 있는 설화이다. 남편 오만석의 이름 중 가운데 글자인 ‘만’과 부인 김수복의 이름 중 가운데 글자인 ‘수’ 자가 합쳐져 ‘만수리’라는 마을 이름이 만들어졌음을 설명하고 있다. 대부분 마을 유래담들이 암석 같은 특징적인 지형지물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수리의 부부」는 부부의 사랑 이야기에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부부의 이름자를 따서 마을 이름을 지었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당시 정읍시 고부면 만수리 지역민들에게 부부의 사랑 이야기가 그만큼 특별하고 안타까운 사연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만수리의 부부」에는 여성 지인담 혹은 여성 예지력의 화소가 첨부되어 더욱더 흥미를 끌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