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93
한자 方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승익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쓰이는 토박이말을 통칭하는 말.

[개설]

정읍은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임실, 서쪽으로는 부안 및 고창, 남쪽으로는 순창 및 전라남도 장성, 북쪽으로는 김제 및 완주에 인접하여 있다. 정읍의 방언은 기본적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방언의 전반적인 특징이 확인되며, 세부적으로는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먼저 정읍 방언은 김제, 부안 등 전북특별자치도 서부 지역과 방언 특징을 공유한다. 그리고 정읍 방언은 순창, 남원 등 전라남도 방언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전북특별자치도 남부 지역의 방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정읍 방언의 특징]

정읍 방언은 전북특별자치도 방언의 하위 방언이다. 전북특별자치도 방언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보여 준다. 먼저 정읍 방언의 단순 모음은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 10개로 확인된다. 그리고 움라우트[‘아기’를 ‘애기’로, ‘학교’를 ‘핵교’로 발음하는 음운 현상]가 매우 활발히 일어난다. 또한 정읍 방언에서는 ㅎ-구개음화[‘형’을 ‘성’으로, ‘힘’을 ‘심’으로 발음하는 음운 현상] 및 ㄱ-구개음화[‘기름’을 ‘지름’으로, ‘겨드랑’을 ‘저드랑’으로 발음하는 음운 현상]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읍 방언이 전북특별자치도 서북부 지역의 방언 특징을 보이는 것은 모음 조화 실현 양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닦-다’, ‘맡-다’와 같이 어간 모음이 ‘ㅏ’인 경우 전북특별자치도 동남부는 ‘닦-아라’, ‘맡-아서’와 같이 ‘아’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는 반면, 정읍 방언 및 전북특별자치도 서북부는 ‘닦-어라’, ‘맡-어서’와 같이 주로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온다.

아울러 정읍 방언은 전라남도 방언의 특징을 공유하는 전북특별자치도 남부 방언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현대 국어의 ‘-시-’와 유사한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겨-’[언지 와겼소?], 대화 상대를 높이는 ‘라우’[어디 가신지 몰라라우]는 전라남도 및 전북특별자치도 남부 지역에서 확인되는 문법 형태소인데 정읍 방언에서도 확인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