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58 |
---|---|
한자 | 黃土峴 |
영어공식명칭 | Hwangtohyun Pass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봉준 |
전구간 | 황토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
해당 지역 소재지 | 황토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 |
성격 | 고개 |
높이 | 35.5m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에서 신월리로 넘어가는 고개.
[명칭 유래]
황토현(黃土峴)은 주변의 산이 모두 황토로 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환경]
남쪽의 두승산에서 동죽산, 매봉, 시루봉으로 연결되는 산줄기는 황토현에서 6㎞가량을 더 북으로 뻗어 가며, 이평면 소재지를 경유한 후 동진강 연변에서 끝난다. 황토현은 시루봉 북쪽에 해당한다. 산줄기를 남쪽으로 타고 가면 두승산부터 백두대간 호남정맥의 두승지맥을 걸을 수 있다. 황토현의 동쪽은 정읍천 유역, 서쪽은 덕천천 유역이다.
[현황]
황토현은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에서 신월리를 연결하는 높이 35.5m의 고개이다. 황토현은 고개이기는 하지만 산지에 있는 여느 고개와 달리 평야 지역에 있는 구릉성 산지 사이에 있어 고도가 지극히 낮고 고갯마루 인근까지 농경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조선 시대 한반도의 주요 산줄기와 하천·고개가 기록되어 있는데, 황토현 인근은 남쪽에서 올라오는 산줄기가 두승산에서 끝나고 다만 망제산과 천태산이 따로 그려져 있을 뿐이다. 이로 보아 조선 시대 당시에도 황토현은 넘기 어려운 ‘고개’는 아닌 것으로 인식한 듯하다.
황토현이 지금처럼 널리 알려진 것은 동학농민혁명 당시 농민군과 전라감영군 간의 큰 전투가 벌어졌던 황토현 전적지이기 때문이다. 현재 황토현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이 광대하게 조성되어 있다. 하학리 가정마을 북쪽으로 1963년 건립한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과 2004년 개관한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황토현과 동학혁명의 역사를 알리고 있었으며,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은 2022년 5월 11일 조성되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관,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연수원,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교육관, 사발통문광장,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캠핑장 등이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은 호남고속국도 정읍IC에서 지방도 제705호를 따라 약 7.5㎞ 떨어져 있으며, 태인에서는 국도 제1호를 타고 정읍 방면으로 가다가 지경교차로에서 내려와 태고로를 따라 약 9㎞를 이동하면 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