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72
한자 平沙里川
영어공식명칭 Pyeongsaricheon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정량리|동곡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평사리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평사리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정량리|동곡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20.7㎢[유역 면적]
길이 7.8㎞[유로 연장]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빈시암에서 발원하여 산외면 소재지 인근에서 동진강으로 합류하는 지방하천.

[명칭 유래]

평사리천(平沙里川)정읍시 산외면 평사리에서 명칭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현재 평사리는 척곡제에서 내려오는 평사리천의 지류와 하구 부근의 일부만 지나고 있다.

[자연환경]

평사리천산외면 종산리 동쪽 끝의 임실군 운암면과의 경계에 있는 여우치마을의 빈시암[頻泉]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계곡 아래 팽나무정마을에서부터 지방도 제749호 및 제715호와 나란히 북서쪽으로 흘러 산외면 정량리 산외1교 앞에서 동진강 본류가 되고 있다. 종산리 묵방산 남쪽 사면과 성옥산 북쪽 사면에서 내려오는 골짜기들이 함께 유역 분지를 이룬다. 산외면 목욕리 성옥산에서 왕자산, 촛대봉 능선을 경계로 발원하는 내욕천이 종산리 종산삼거리에서 왼쪽 기슭으로 합류하며, 평사리 척곡제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정량리 산외교 앞에서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현황]

평사리천의 유역 면적은 20.7㎢이며, 유로 연장은 7.8㎞이다. 평사리천은 인근 옥정호섬진강 수자원을 동진강으로 유역 변경하여 유입시키는 원류로 이용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28년 섬진강에 축조된 운암댐의 섬진강 물을 759m의 지하 도수터널을 통하여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마을 앞 계곡으로 유역 변경하였다. 현재도 이 유역 변경된 수량으로 동진강 중하류에 있는 농경지에 부족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1931년에는 팽나무정 앞의 도수터널 출구에서부터 별도의 도수로를 이용하여 유역 변경식 수력 발전을 하는 운암수력발전소가 세워져 1985년까지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칠보수력발전소운암수력발전소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팽나무정마을 앞 도수터널 출구부와 운암수력발전소는 지방도 제749호에 붙어 있어 관찰이 쉽다. 운암수력발전소 폐건물은 종산보건진료소 남동쪽 200여m 근방 다리 건너에 보인다. 동진강의 발원지에 대하여 여러 의견이 있다. 평사리천의 빈시암, 정읍천 발원지인 까치샘, 산외면 상두리 국사봉 남쪽 사면 등이 제시되었으나, 묵방산 밑의 빈시암을 발원지로 보는 의견이 유력한 듯하다. 산지 지역을 흐르는 하천의 특성상 주변에 농경지가 넓게 발달하지 않았으며, 하류의 산외면 소재지 부근으로 내려와서야 양쪽 기슭으로 농지가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