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산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38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대석1길 13-16[금붕동 10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2002년연표보기 - 내장산마을 정보화 마을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4월 24일 - 내장산마을 내장산마을 정보센터 개관
소재지 내장산마을 정보센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대석1길 13-16[금붕동 109]지도보기
성격 정보화 마을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금붕동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 내 6개 마을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 마을.

[명칭 유래]

내장산마을내장산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내장산마을은 2002년 정보화 마을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4월 24일 내장산마을 정보센터를 정읍시 금붕동에 개관하였다.

[자연환경]

내장산마을은 동쪽으로는 노령산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는 칠보산내장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정읍시 시가지가 있는 평야 지역이다.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어 맑은 물, 맑은 공기를 자랑으로 삼고 있으며,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고랭지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특산물 재배를 생업으로 하고 있다. 특산품으로 토종 복분자, 단풍 분재, 포도, 감 등을 생산하고 있다.

[현황]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농림부, 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정보화 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화 마을 조성 사업은 농촌, 어촌, 산촌 등 정보화에서 소외된 지역에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상거래 등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내장산마을은 부전마을, 부무마을, 송죽마을, 답곡마을, 부여마을, 회룡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2003년 개관한 내장산마을 정보센터는 인터넷 교육, 영화 관람, 화상회의 등 많은 정보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자 주민들의 휴식 및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내장산마을 정보센터에서는 주민 정보화 무료 교육 과정을 개설하여 지역 주민의 정보화 격차를 줄이고, 관광객에게 정보화 서비스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 오곡강정 만들기, 구절초 한방향 주머니 만들기, 천연 비누 만들기, 자두·복분자 등 과일 따기 체험, 물놀이 체험, 천연 염색 체험, 승마 체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