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사』[2003, 2010]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57
한자 井邑市史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2003년 3월 31일연표보기 - 『정읍시사』[2003] 간행
간행 시기/일시 2010년 5월 20일연표보기 - 『개편 정읍시사』[2010] 간행
소장처 정읍시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34[수성동 440-1]
간행처 정읍시사편찬위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34[수성동 440-1]
간행처 개편 정읍시사발간추진위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34[수성동 440-1]
성격 향토지|시지
저자 『정읍시사』[2003]: 최현식|임남곤|장지철|김동필|남용식|김재영|안후상|김희선|박순호|『개편 정읍시사』[2010]: 정창환|최현식|김영대|김재영|정병선|박경희
간행자 『정읍시사』[2003]: 정읍시사편찬위원회|『개편 정읍시사』[2010]: 개편 정읍시사발간추진위원회
표제 井邑市史[2003]|개편 井邑市史[2010]

[정의]

2003년과 2010년에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정치·경제·역사·문화 등을 총망라한 향토지.

[개설]

『정읍시사』[2003, 2010]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향토지이다. 2003년 간행된 『정읍시사』는 정읍시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하였고, 2010년 간행된 『개편 정읍시사』는 개편 정읍시사발간추진위원회에서 편찬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정주시정읍군이 1981년 7월 1일자로 나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다시 통합되었음에도 행정 구역만 결합되었을 뿐이라서 하나의 행정 문화권으로 결합되는 상징적 사업을 달성하고자 2003년 『정읍시사』 편찬 사업이 추진되었다. 누구나 읽기 편하도록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인명이나 지명 및 고유 명사 등의 경우에는 한자를 같이 쓰거나 한자를 그대로 표기하였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문헌 자료들을 섭렵하고, 문화 유적과 유물들의 현장 답사 및 지역민들의 신빙성 있는 전언을 바탕으로 하여 정읍의 지역성과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후 시간이 흘러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2010년 『개편 정읍시사』를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정읍시사』[2003]의 발행처는 정읍시사편찬위원회이며, 2003년 3월 31일 간행되었다. 집필자는 최현식, 임남곤, 장지철, 김동필, 남용식, 김재영, 안후상, 김희선, 박순호 등이다. 『개편 정읍시사』[2010]의 발행처는 개편 정읍시사발간추진위원회이며, 2010년 5월 25일 증보 간행되었다. 집필자는 정창환, 최현식, 김영대, 김재영, 정병선, 박경희 등이다.

[형태]

『정읍시사』[2003]는 상·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576쪽이다. 『개편 정읍시사』[2010]는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883쪽이다.

[구성/내용]

『정읍시사』[2003]는 상·하 2권이다. 상권은 제1편 자연과 인문, 제2편 역사, 제3편 정치, 제4편 행정으로 구성되었다. 제1편에는 위치와 면적, 지세, 지질과 광물, 기후, 지명, 취락, 인구, 성씨 등을 기술하였고, 제2편에는 선사 시대, 마한 시대, 백제 시대, 통일 신라 시대, 후백제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대, 현대 등으로 구분된 역사를 기술하였다. 제3편에는 전국 선거, 지방 선거, 정당, 선거 관리 위원회 등을 기술하고, 제4편에는 시정 현황, 행정 구역, 행정 기구, 재정·민원·지적·공유재산, 법제·포상, 사회 복지, 보건 의료, 민방위·치안·소방, 읍·면·동 행정 등을 기술하였다.

하권은 제5편 산업 경제, 제6편 종교, 제7편 문화, 제8편 교육, 제9편 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편에는 농업, 임업, 축산업, 농촌 지도 사업, 상업·공업, 금융, 건설, 교통·관광, 정보·통신·전기, 환경 등을 기술하였다. 제6편에는 유교, 불교, 천주교, 개신교, 원불교, 보천교, 기타 종교 등을 기술하였고, 제7편에는 문화 예술, 학술, 언론·출판·인쇄, 문화재, 전통문화, 명소·명물, 전통 민속 등을 기술하였다. 제8편에는 교육 행정, 유아 교육, 초등 교육, 중등 교육, 고등 교육, 사회 교육, 정읍시민장학재단 등을 기술하고, 제9편에는 선생안(先生案), 과방(科榜), 정치·학문, 왜란·호란·창의, 갑오농민혁명, 항일 의병, 효·열, 종교·문화, 구휼·자선, 근세 등의 순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개편 정읍시사』[2010]는 상·중·하 3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권에는 제1편 자연과 인문, 제2편 역사, 제3편 정치 등이 기술되어 있고, 중권에는 제4편 행정, 제5편 산업·경제, 제6편 종교 등이 기술되어 있으며, 하권에는 제7편 문화, 제8편 교육, 제9편 인물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2003년에 간행된 『정읍시사』와 목차 구성이 같으나 수정·보완된 부분도 있다. 제1편에서는 인구를 취락에 통합하여 서술하였고, 제3편에서는 정당 항목을 삭제하였다. 또 제4편에서는 재정·민원·지적·공유재산 항목을 삭제하였으며, 법제·포상은 포상으로 변경하고, 민방위·치안·소방 항목은 치안·소방으로 변경하였다. 제5편에서는 농업, 임업, 축산업, 농촌 지도 사업, 정보·통신·전기, 환경 항목이 삭제되고, 제7편에서는 학술 항목이 삭제되었으며, 제9편에서는 과방(科榜) 항목 등이 삭제되는 등 세월의 변화상을 반영하였다.

[의의와 평가]

『정읍시사』[2003]는 1995년에 시·군 통합과 새천년을 맞아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한 자료 등을 통하여 정읍시의 장소성을 규명하려고 노력하였다. 현존하는 백제 시대 최고의 한글 가요인 「정읍사」와 가사 문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상춘곡」의 발원 현장이자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가 정읍시임을 강조하였다. 『개편 정읍시사』[2010]는 시간의 흐름상 2003년에 간행된 내용을 대폭 수정·보완하여 개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