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60
한자 金應七
영어공식명칭 Gim Eungchil
이칭/별칭 김두수(金斗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8년 9월 19일연표보기 - 김응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3년 11월 - 김응칠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
활동 시기/일시 1894년 1월 10일 - 김응칠 고부농민봉기 참여
활동 시기/일시 1894년 12월 6일 - 김응칠 관군에 체포
몰년 시기/일시 1894년 12월 23일연표보기 - 김응칠 사망
출생지 입석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 지도보기
활동지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지도보기
성격 동학농민군
성별 남성
본관 언양
대표 경력 동학농민군 화포대장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자이자 동학농민군 참여자.

[가계]

김응칠(金應七)[1858~1894]의 본관은 언양(彦陽)이며, 족보명은 김두수(金斗秀)이다. 자가 응칠(應七)이다. 아버지는 김인호(金麟浩)이고, 형은 김규수(金奎秀)·김태수(金台秀)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임상윤의 딸 평택 임씨(平澤 林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은춘성의 딸 행주 은씨(幸州 殷氏)이다. 아들은 김성구(金星九)·김용구(金龍九)이다.

[활동 사항]

김응칠은 1858년(철종 9) 9월 19일 전라도 고부군 입석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에서 태어나 동학에 입도하였다. 1893년(고종 30) 11월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을 몰아내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한양으로 올라가 중앙 권신들을 척결하여 당시 조선 사회가 안고 있던 모순을 해결하고자 송두호(宋斗浩)·전봉준(全琫準) 등 19인과 함께 사발통문 봉기 계획에 참여하였다.

김응칠은 1894년 1월 10일 고부농민봉기를 시작으로 황토현 전투, 백산봉기, 황룡촌 전투, 우금치 전투를 치르며 화포대장으로 활약하였다. 1894년 12월 6일 관군에 사로잡혀 전주로 압송되었고, 12월 23일 전주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김응칠의 묘소는 정읍시 소성면에 있었다고 하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고, 김응칠의 비석은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 언양 김씨 선산의 부인 행주 은씨 봉분 앞에 세워져 있다.

[상훈과 추모]

김응칠은 2009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