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68 |
---|---|
한자 | 林魯鴻 |
영어공식명칭 | Im Nohong |
이칭/별칭 | 응수(應洙),운암(雲庵)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광환 |
출생 시기/일시 | 1855년![]() |
---|---|
활동 시기/일시 | 1893년 11월 - 임노홍 동학농만혁명 사발통문 서명 |
활동 시기/일시 | 1894년 1월 10일 - 임노홍 고부농민봉기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12년 2월 8일![]() |
출생지 |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
거주|이주지 |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묘소 | 임노홍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 |
성격 | 동학농민군 |
성별 | 남성 |
본관 | 평택 |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자이자 동학농민군 참여자.
[가계]
임노홍(林魯鴻)[1855~1912]의 본관은 평택(平澤)이며, 자는 응수(應洙), 호는 운암(雲庵)이다. 아들은 임기인·임기철이다.
[활동 사항]
임노홍은 1855년(철종 6) 전라도 고부군 서부면[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에 입교하였고, 1893년(고종 30) 11월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을 몰아내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한양으로 올라가 중앙 권신들을 척결하여 당시 조선 사회가 안고 있던 근본 모순을 해결하고자 송두호(宋斗浩)·전봉준(全琫準) 등 19인과 함께 사발통문 봉기 계획에 참여하였다.
임노홍은 1894년 1월 10일 고부농민봉기 이후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전주성 점령과 9월의 삼례봉기까지 참여하였다. 이후 동학농민혁명 때 살아남은 임노홍은 1906년 건립된 천도교 고부교구에서 공선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12년 2월 8일 사망하였다.
[묘소]
임노홍의 묘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에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