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751 |
---|---|
한자 | 井邑市廳 |
영어공식명칭 | Jeongeup City Hall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34[수성동 440-1]|정우면 정우남로 282[우산리 66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상현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정읍시 관할 행정 기관.
[설립 목적]
정읍시청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관할하는 지방 자치 행정 기관이다. 정읍시청은 정읍시의 행정과 민원 등의 업무를 총괄적으로 수행하고, 주민 복리 증진과 지역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정읍시의 역사는 신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757년(경덕왕 16)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 들어 고부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951년(광종 2)에 안남도호부로 개칭되었다. 1019년(현종 10) 고부군으로 환원되었다. 1895년 6월 23일 전라도 정읍현에서 전주부 정읍군으로 개칭되었고, 1896년 8월 4일 전주부 정읍군에서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정읍군·태인군·고부군이 병합되어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 4월 1일 정읍면이 정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전라북도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비로소 정읍시청이 개청되었다. 한편 정읍시는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민선 8기 정읍시는 시민 중심, 으뜸 정읍 건설을 위하여 2023년 총 367건의 주요 업무를 추진하였다. 주요 업무는 업무 성격별로 핵심 업무 78건, 일반 업무 195건, 공약 사업 94건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구 감소 지역 지정에 따른 인구 활력 사업 추진, 정읍 고향 사랑 기부제 추진, 관광, 서비스, 농업 분야 생활[교류·관계] 인구 확대 정책 추진, 시민 참여 열린 시정을 위한 시민 소통 체계 구축, 스마트한 소통 행정을 위한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국내외 자매·우호 도시 교류 활성화, 지역·청년·일자리를 품는 일자리 정책과 신설, 무성서원 유교수련원 건립, 정읍문화관광재단 설립, 문화 광장 순환 열차 궤도 시설 설치 공사, 대장금 테마파크 조성 사업, 내장산국립공원 2차 대표 관광지 육성 사업, 갑오동학농민혁명 명칭 및 정신 헌법 전문 명시, 통계 기반 신뢰 행정 구축, 지역 주도형 일자리 정책 사업 발굴 및 추진, 맞춤형 청년 정책 추진으로 청년 자립 기반 확충, 샘고을 정다운 상권 활성 사업, 제약 산업 미래 인력 양성 센터 구축,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 지원 추진, 치유의 숲 조성 등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황]
정읍시는 2023년 12월 현재 신태인읍과 14개 면, 8개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정읍시는 시장, 부시장과 함께 2실[기획예산실, 시민소통실], 4국[문화행정국, 일자리경제국, 복지환경국, 도시안전국], 25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2실[기획예산실, 시민소통실]과 2과[감사과, 총무과]는 시장 직속으로 편재되어 있다.
문화행정국에 6과[문화예술과, 관광과, 동학문화재과, 세정과, 회계과, 정보통신과], 일자리경제국에 5과[일자리정책과, 지역경제과, 미래산업과, 민원지적과, 산림녹지과], 복지환경국에 6과[사회복지과, 여성가족과, 노인장애인과, 인재양성과, 환경정책과, 자원순환과], 도시안전국에 6과[도시과, 지역활력과, 재난안전과, 건설과, 건축과, 교통과] 및 시장 직속 감사과, 총무과를 포함하여 25과가 있다.
직속 기관은 보건소, 농업기술센터가 있다. 보건소는 보건위생과, 건강증진과, 건강재활과, 샘골건강센터 등 3과 1센터가 있으며,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정책과, 농수산유통과, 축산과, 농촌지원과, 기술보급과 등 5과가 있다. 사업소는 도서관사업소, 체육진흥사업소, 상하수도사업소가 있다. 1읍[신태인읍], 14면[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8동[수성동, 장명동, 내장상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등 23개 읍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인력은 총 1,250명이고, 본청에 525명[42%], 소속 기관에 725명[58%]이 있으며, 이 중 읍면동에는 396명이 분포되어 있고, 과장급이 70명[5.6%]이다.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는 84명이다. 재정 규모 대비 인건비 비중은 1164억 원[11.3%]이다.
정읍시의 2023년 예산 규모는 1조 3392억 원[일반 회계 1조 410억 원, 공기업 특별 회계 657억 원, 기타 특별 회계 127억 원, 기금 2198억 원]으로 2022년 대비 1913억 원이 증가하였다. 이 중 자체 수입 996억 원, 이전 재원[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 8884억 원, 지방채 및 보전 수입 등 내부 거래 530억 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 회계 예산 규모 대비 재정 자립도는 9.57%이며, 재정 자주도는 58.95%, 통합 재정 수지는 38억 원 흑자로 나타났다.
일반 회계 1조 410억 원 중 분야별 예산을 보면 사회복지 2877억 원[27.63%], 농림해양수산 2059억 원[19.77%], 국토 및 지역 개발 682억 원[6.55%] 순이며, 일반 공공 행정은 445억 원[4.28%]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읍시 자체 사업 비율은 24.38%이며, 보조 사업 비율은 59.34%, 행사 및 축제 경비 73억 원[0.7%], 업무 추진비 363억 원[총액한도액 385억 원 대비 94.13%]이다. 2023년 정읍시의 주민 참여 예산 사업 예산 반영 규모는 주민 주도형 241건 59억 원이다.
정읍시청은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으며, 지상 5층의 본청과 2층 규모의 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청은 1층에 시민소통실, 감사과, 노인장애인과, 사회복지과, 민원지적과 등이 있으며, 2층에는 시장실, 부시장실, 일자리경제과, 의회사무국, 지역경제과 등이, 3층에는 미래산업과, 기획예산실, 총무과, 동학문화재과, 여성가족과, 의원연구실 등이 자리하고 있다. 4층에는 재난안전상황실, 정보통신과, 회계과, 관광과, 세정과, 도시과, 재난안전과, 교통과 등이 있고, 5층에는 산림녹지과, 건설과, 건축과, 정읍시본의회 회의장 등이 있다. 별관에는 통계조사 종합상황실, 공시지가사무실, 상하수도사업소 등이 있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에 제2청사를 두고 있다. 제2청사는 3층 규모이며, 1층에는 농수산유통과, 기술보급과, 지역활력과, 조직배양실, 농업환경종합분석실, 원예작물분석실 등이 있고, 2층에는 농업기술센터 소장실, 농업정책과, 축산과, 가축방역상황실, 농촌지원과, 인재양성과, 영농지원대책상황실, 쌀품질관리실, 과수영양진단실 등이 있으며, 3층에는 대강당과 정보화교육장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민선 이후 정읍시 행정 운영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인구 감소 지역 지정에 따른 인구 활력 사업 추진, 정읍 고향 사랑 기부제 추진, 관광, 서비스, 농업 분야 생활[교류·관계] 인구 확대 정책 추진, 시민 참여 열린 시정을 위한 시민 소통 체계 구축, 시민의 사회복지, 보건의료, 문화관광 등과 관련된 업무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인구 감소,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한 지역 발전 전략과 맞춤형 청년 정책 추진으로 청년 자립 기반 확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주민들과의 소통 행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정읍시 행정 조직 체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