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84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5년 4월 - 「해원풀이」 서보익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4월 30일 - 「해원풀이」 『한국구비문학대계』5-6에 수록
채록지 태성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정읍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격 무가|경문
형식 구분 4.4조
가창자/시연자 서보익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전승되는 망자의 원혼을 위로하는 무가.

[개설]

「해원풀이」는 정읍 지역에서 망자의 원혼을 위로하고 해원(解冤)하여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내용의 무가이다.

[채록/수집 상황]

「해원풀이」는 1985년 4월 박순호, 김윤석, 박현국이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주민 서보익[남, 76세]에게서 채록하였고, 1987년 4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5-6 전라북도 정주시·정읍군 편에 수록되었다. 서보익은 당시 무가 「해원풀이」, 「칠성풀이」 외에도 30여 편의 설화 구술과 12편의 민요를 가창하였다.

[구성 및 형식]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서 채록한 「해원풀이」는 일명 「조상해원풀이」에 해당한다. 「조상해원풀이」는 조상의 원혼을 해원하여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기본 구조는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육갑 순서로 차례로 나열하면서 각각의 해에 매인 원혼을 불러내 지옥에 들지 말고 극락세계로 발원한다는 내용이다. 가령 “경오신미 노방토/ 경오신미 노방토는/ 토생남녀가 원한이냐/ 북망산천 노압의/ 설정고정 묻힌 무덤/ 백설한풍 어찌하며/ 궂은비가 오는 날은/ 어디 가서 잊어버렸거나/ 잊어버릴 곳 전혀 없어/ 글로 맺혀 원한이요/ 원한정 먹은 마음/ 춘설같이 풀어놓고/ 일백태 서러 말고/ 극락세계 발원이요/ 오늘날로 해원이야/ 나무아미타불”이라는 식의 주문을 모든 육십갑자를 들먹이면서 해원한다. 사설은 4·4조 진행이다.

[내용]

갑은병정 무기경신 임계생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생 육십갑자로 매인 인간

갑자을축 해중금은 금생 마녀가 원한이냐

금생 여수가 아니어든 금을 어이 원할소냐

망망창해 벽파 중에 황금 찾어 쌓어 놓고

부귀영화를 바랬더니 인간 생사 재천키로

속절없이도 죽어지니 인간 이별이 망극허여

글로 맺혀도 원한인가

원한정 먹은 마음 전설같이 붙여놓고

일백태 서러 말고 극락세계로 발원이요

오늘날로 해원이야 나무아미타불

병인정묘 노화중 병인정묘 노화중은

화생 남녀가 원한인가 노상천변 받은 물은

무주구천으가 묻지 마라 독생자 설은 무덤

일부러 서러운데 화발문상 불 붙으면

어느 행인이 불 꺼주며 어느 친척이 불 꺼줄 거나

불 꺼줄 이가 전혀 없이 글로 맺혀서 원한이요

원한정 먹은 마음 춘설같이 풀어놓고

일백태 서러 말고 왕생극락을 발원이요

오늘날로 해원이야 나무아미타불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북특별자치도는 예로부터 무당의 한 부류인 ‘독경무(讀經巫)’들의 활동이 많았던 지역이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독경무들을 ‘독경쟁이’ 혹은 ‘경쟁이’라고 불렀으며 현재는 ‘법사’라고 통칭한다. 과거에는 시각 장애인 독경쟁이가 많았다. 법사를 학술어로 ‘학습무(學習巫)’라고도 한다. 즉, 신내림과 무관하게 경문을 배워서 활동하는 무당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과거 법사들은 한문을 읽을 줄 알고, 수십 가지의 경문을 통으로 외우고, 악기를 다룰 줄 알고, ‘설경’이라고 하여 제단을 치장하는 각종 종이 장식물을 칼과 가위로 직접 파고 오려서 장식하는 등 재주가 많았다. 법사들은 정초에 ‘안택굿’을 하는 집들이 많아서 정월 한 달이 가장 바쁘고 그만큼 수입도 많았다.

그러나 근래의 법사들은 대개 ‘신법사’라고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신내림을 받았다는 것을 내세우는 법사가 많다. 반면에 신법사들은 경문에 기초한 독경이 취약하여 독자적으로 굿을 하지 않고, 대부분 여성 강신 무당인 보살과 짝을 이루어 활동하는 경향이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