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85
이칭/별칭 무가,칠성신,본풀이,서천,견우와 직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5년 4월 - 「칠성풀이」 오판선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4월 30일 - 「칠성풀이」 『한국구비문학대계』5-6에 수록
채록지 낙양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낙양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정읍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격 무가
가창자/시연자 오판선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전하여지는 칠성신에 대한 무가.

[개설]

「칠성풀이」는 정읍 지역에서 어린 자식의 명과 복을 관장한다는 칠성신에 관한 본풀이 무가이다.

[채록/수집 상황]

「칠성풀이」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구비문학 조사 사업에서 1985년 4월 박순호, 김윤석, 김선례가 정읍시 태인면 낙양리에서 무속인 오판선[여, 69세]에게 채록하였고, 1987년 4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5-6 전라북도 정주시·정읍군 편에 수록되었다. 오판선은 부안군 백산면 거룡리에서 열일곱 살에 낙양리로 시집왔다. 서른일곱 살에 신이 들렸으나, 남편의 반대로 무속 행위를 하지 못하다가 남편과 사별한 뒤부터 무속인으로 살고 있다. 당시 「칠성풀이」, 「장자풀이」, 「삼신풀이」 등 세 편의 무가를 구송하였고, 이외에도 설화 두 편, 민요 13곡을 들려주었다.

[구성 및 형식]

정읍시 태인면 낙양리에서 채록한 「칠성풀이」는 서천 서역국에 사는 칠성님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서 용궁의 용녀 부인을 만나 열다섯 살에 혼례를 하면서 시작한다. 이후 이어지는 서사는 통상적인 「칠성풀이」와 같다. 이야기 전개가 누락 없이 꼼꼼하며, 풀어 나가는 사설이 오류나 와전이 드물 정도로 정확하고, 표현과 수사가 풍부하면서도 토속적이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의 언어 특성과 방언이 그대로 드러나 지역성과 토착성을 향유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내용]

서천 서역국 아래 칠성님이 사는데 인간 세상에 내려와 용궁의 용녀 부인과 열다섯 살에 혼인한다. 1년이 가고 몇 년이 가도 일점혈육(一點血肉)이 없자 기자 치성, 백일 공덕을 드렸는데, 선몽 후 태기가 있었고, 마침내 한 태에 일곱을 낳는다. 그런데 칠성님이 이를 징그럽고 흉스럽다고 하며 천상으로 올라 후실 장가를 가 버린다. 용녀 부인이 일곱 아들을 어렵게 키우며 동냥으로 글공부를 시켰는데, 서당 동접들이 시기하며 ‘아비 없는 자식’이라고 흉보고 괴롭혔다. 결국 아버지가 떠난 사연을 용녀 부인이 말하자, 일곱 형제는 아버지를 찾아 천상에 올라가 갖은 관문을 통과한 후 칠성님과 상봉한다.

후처인 옥녀 부인은 칠성님의 사랑이 일곱 형제에게만 향하자 일곱 형제를 죽이고자 문복쟁이를 회유하고 꾀병을 앓는다. 문복쟁이는 옥녀 부인의 지침대로 ‘산 사람의 애[간] 일곱 개를 먹어야 낳는 병’이라고 말한다. 칠성님이 일곱 형제에게 점괘를 말하자 일곱 형제는 ‘자식은 또 낳으면 되지 않느냐’고 하면서 자기들 애를 꺼내라고 한다. 그런데 일곱 형제를 살해하고 애를 꺼내려 애동산으로 가는 도중 난데없는 금사슴이 나타나 “내 배를 열면 내 것까지 애 일곱이 있다”라고 말하여 그대로 시행하였다.

옥녀 부인은 간을 받아 먹는 척하고 병이 나았다고 잔치를 벌인다. 그때 잔치 현장에 일곱 형제가 나타나 하늘의 심판을 청하였고, 칼이 춤추며 옥녀 부인을 세 토막을 내 징치한다. 칠성님과 일곱 형제는 다시 용녀 부인을 찾아가는데 죽었던 어머니를 일곱 형제의 효심으로 살려 낸다. 이후 칠성님은 견우성, 용녀 부인은 직녀성이 되고, 일곱 형제는 북두 칠성신이 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견우와 직녀가 칠석에 만난다는 설화의 유래담이 「칠성풀이」이다.

[현황]

「칠성풀이」는 현재 극히 일부의 무속인들에 의하여 가창으로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칠성풀이」는 호남 지역에서 가장 많이 전승되는 서사 무가이다. 호남 지방 무당굿의 주체이자 정체성에 해당하는 ‘당골무녀’가 연행하는 굿판이라면 빠뜨릴 수 없는 굿거리가 「칠성풀이」이다. 호남 지방 당골 굿판이라면 늘상 「칠성풀이」, 「장자풀이」, 「오구물림[바리데기]」이 불린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20여 편의 「칠성풀이」가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