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87 |
---|---|
한자 | 牛山里 |
영어공식명칭 | Usan-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우순면 우산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5년 3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우순면 우산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우산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우산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로 개편 |
성격 | 법정리 |
면적 | 4.62㎢ |
가구수 | 191가구 |
인구[남/여] | 338명[남 170명|여 168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정우면 백년사』에 의하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이 소산이었는데, ‘소산‘을 ‘우산’이라고 잘못 기록하여 우산리(牛山里)가 되었다고 하며, 또한 『한국 지명 총람』에 따르면 마을의 지형이 소처럼 생겼다는 데서 유래하여 소산마을 또는 우산마을이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시동(詩洞), 송배리(淞培里), 비선리(飛仙里), 서당리(書當里), 소산리(所山里), 사포리(沙浦里), 원두리(元斗里), 사거리(四巨里), 망담리(望潭理)와 우일면(雨日面) 남산리(藍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우순면 우산리로 개편되었다. 1935년 3월 1일 행정 구역 조정으로 우순면과 정토면이 정우면(淨雨面)으로 병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우산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우산리는 북쪽에는 덕재산, 서쪽에는 바둑이산이 있는 구릉 지역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우산리의 면적은 4.62㎢이며, 인구는 191가구, 338명[남자 170명,여자 168명]이다. 우산리는 정우면의 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북면 장학리, 서쪽으로 우일리와 대산리, 남쪽으로 우일리, 북면 한교리와 화해리, 북쪽으로 장순리와 접하고 있다.
우산리는 우산(牛山)마을, 송배(松倍)마을, 비선(飛仙)마을, 서산(書山)마을, 망담(望潭)마을의 5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우산마을은 예부터 시인(詩人)과 학자가 많아서 시동(詩洞)이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우산마을은 마을 바로 앞에 국도 제1호가 통과한다. 송배마을은 구릉지에 있어서 밭농사가 중심이며, 마을 남쪽에는 송배 방죽[송배제]이 있다. 북서쪽에는 고속국도 제25호, 남동쪽에는 국도 제1호가 통과한다.
서산마을은 서당(書堂)과 소산(所山)이 합하여 한 마을이 되었다. 북동쪽에는 바둑이산[棋山]이 있고, 앞에는 안산(案山)이 있어 명당터라고 전하여 온다. 망담마을은 서녘으로 지는 해를 조망할 수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 마을 옆 한교천에 정우소수력발전소(小水力發電所)[정읍시 정우면 우산리 산161-5]가 있다. 망담마을은 지방도 제701호가 통과하고 있으며, 마을 서쪽에는 호남선 철도, 동쪽에는 호남고속철도가 지나간다.
우산리에는 정읍시청 제2청사, 국립종자원 전북지원 정읍청사, 정읍가축시장,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등이 자리하고 있다. 고속국도 제25호와 국도 제1호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통과하고 있으며, 동서 방향으로는 군도 제12호가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