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80
한자 石灘寺
영어공식명칭 Seogta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허궁실2길 186-125[반곡리 산38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찰 시기/일시 1597년연표보기 - 석탄사 정유재란으로 소실
중수|중창 시기/일시 1750년경 - 석탄사 중건
폐찰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석탄사 동학농민혁명으로 소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0년경 - 백초월 석탄사에서 독립운동 단체 일심회 결성
폐찰 시기/일시 1950년연표보기 - 석탄사 6·25전쟁으로 소실
중수|중창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석탄사 재건
중수|중창 시기/일시 1986년 - 석탄사 불당 조성
중수|중창 시기/일시 1988년 - 석탄사 요사채 건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88년 - 석탄사 염불전 건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88년 - 석탄사 삼성각 건립
현 소재지 석탄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허궁실2길 186-125[반곡리 산389]지도보기
성격 사찰
전화 063-538-1268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반곡리에 있는 대한불교심우회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석탄사는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의상(義湘)[625~702]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석탄사는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으나 1750년(영조 26)경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에 살던 모은(慕隱) 박잉걸(朴仍傑)[1676~1766]이 중건하였다. 한때 운문사 추계(秋溪) 유문(有文)의 제자인 무경(無竟) 자수(子秀)[1664~1737]가 주석(駐錫)하였다고 한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소실되었으며 그 뒤 일제 강점기에 태인의 유지였던 가산(迦山) 김수곤(金水坤)[1873~1950]이 중건하였다.

1940년경 독립운동을 하였던 중 백초월(白初月)이 석탄사에서 독립운동 단체인 일심회(一心會)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석탄사6·25전쟁 당시 다시 소실되었다. 소실된 석탄사 자리에 주지 탄월(灘月) 조병준(趙秉晙)이 1973년 다시 사찰을 조성하였다. 1986년에는 불당과 종각을 새로 조성하였고 1988년에는 요사채, 승방, 염불전, 삼성각 등을 건립하였다.

[활동 사항]

코로나19 이후 법회는 축소되어 운영되고 있다. 신자는 100여 명 정도이다. 석탄사는 대한불교심우회 소속 사찰로서 아미타불 정토 도량을 표방하고 있으며,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염불 수행법을 강조하고 있다. 2023년 현재 매월 첫째 주 법회, 매월 셋째 주 경전 독송 법회를 운영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석탄사정읍시 칠보면 사자산 용태봉(龍台峰) 암벽에 자리하고 있다. 석탄사 경내에는 대웅전과 종각, 염불전, 요사채, 삼성각 등을 비롯하여 범종과 오층 석탑, 약사불상, 십일면관세음보살상, 지장보살상 등이 있다. 그 외 약수가 고이는 석간수가 있다. ‘석탄의 저녁 종소리[石灘暮鐘]’는 칠보 8경 중 하나라고 한다. 주변의 경관이 매우 아름답고, 마을로부터 2㎞ 이상 떨어진 한적한 곳에 위치한 기도처이다. 현지가 주석하고 있다.

[관련 문화재]

석탄사 입구에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부도 탑 1기와 최근에 조성된 2기의 부도 탑 및 거사 조병일의 공적비 1개가 있다. 사찰 내에는 1800년대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 석탑이 있다. 조선 후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보수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 석탑의 4면에는 조각상이 부조되어 있다.

석탄사를 노래한 옛 시가 있는데 1738년 간행된 중 자수(子秀)의 문집 『무경집(無竟集)』에 「석탄암(石灘庵)」이라는 칠언율시가 전한다. 석탄사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하고 있는 「석탄암」의 내용은 “아름다운 금모래 세계에 노닐고 천지를 두루 보며 소요하네. 아래로 창해가 작게 보이고 위로는 푸른 하늘이 지척이네. 절벽 누대 곁에는 층층 옛 탑 떨어지는 맑은 샘물 긷네. 기림의 경물 다 담기 어려워 귀로는 더디고 흥은 한없네[特䜕金沙作勝遊 乾坤揮斥放吟眸 俯看滄海拗堂覆 仰見靑天咫尺浮 絕壁臺邊層古塔 飛泉落處汲淸流 祗林景物難收盡 歸路遲遲興更悠]”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