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28
한자 武城里
영어공식명칭 Mus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무성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무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4.27㎢
가구수 211가구
인구[남/여] 381명[남 192명|여 189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해당 지역에 있는 무성서원(武城書院)의 이름을 따서 무성리(武城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은석리(銀石里), 원촌리(院村里), 동촌리(東村里), 육리(六里), 도산리(道山里)와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흥삼리(興三里), 신제리(新提里), 구동(九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무성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가 되었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년]의 고현면(古縣內) 은석동리(銀石洞里)·도촌리(島村里)와 남촌면(南村面) 신흥리(新興里) 그리고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의 고현면 원촌(院村)이 지금의 무성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읍군지』[1936년]에는 원촌·장구동(藏龜洞)·은석동(銀石洞)·대흥리(大興里)·묵동(墨洞)이, 『신편 정읍군지』[1957년]에는 원촌·장구동(長九洞)·은석동·대흥(大興)·묵동·신흥(新興)이, 『태인지』[1965년]에는 묵동·원촌(院村)·은석(銀石)·장구(長九)·대흥·건흥(建興)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은석리·원촌리·동촌리·육리·도산리[태인군 고현내면]·흥삼리·신제리(新堤里) 각 일부·구동[태인군 남촌일변면]이 무성리의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무성리는 서쪽에 칠보산 자락을 끼고 있으며, 마을을 따라 흐르는 은석천이 동진강으로 합류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4.27㎢이며, 인구는 211가구, 381명[남자 192명, 여자 189명]이다. 무성리칠보면의 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시산리, 서쪽으로 백암리, 남쪽으로 반곡리, 북쪽으로 와우리와 접하고 있다.

무성리에는 묵동(墨洞)마을, 신흥(新興)마을, 대흥(大興)마을, 장구(長久)마을, 은석(銀石)마을, 원촌(院村)마을이 있다. 무성리의 교육 기관으로는 칠보초등학교가 있다. 문화 유적으로 원촌마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정읍 무성서원이 있으며, 무성리삼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무성리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송정(松亭)[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이 있다. 은석마을에는 「상춘곡」을 쓴 정극인(丁克仁)[1401~1481]을 기리는 재실인 영모재(永慕齋)와 불우헌 정극인 묘[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그리고 상춘곡비(賞春曲碑) 및 필양사(泌陽祠)[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시산사(詩山祠)·후송정(後松亭)·한정(閒亭)[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1호]·호호정유지비(浩浩亭遺志碑)·영성정(永誠亭)이 있으며, 이외에 향토문화사료관과 칠보물테마유원지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