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74
한자 內藏寺
영어공식명칭 Naejangsa Temple
이칭/별칭 영은사(靈隱寺),벽련사(碧蓮寺)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9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636년연표보기 - 영은사 창건
중수|중창 시기/일시 1098년 - 영은사 중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39년 - 영은사 조정의 명에 따라 소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57년 - 내장사 법당과 요사채 건립
개칭 시기/일시 1557년연표보기 - 영은사에서 내장사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92년 - 내장사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실록』과 태조 어진 수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97년 - 내장사 정유재란 때 전소
중수|중창 시기/일시 1639년 - 내장사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1779년 - 내장사 대웅전 중수[1779]
중수|중창 시기/일시 1779년 - 내장사 시왕전 중수
이전 시기/일시 1923년 - 내장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576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38년 - 내장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576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590으로 이전
중수|중창 시기/일시 1938년 - 내장사 대웅전 중수[1938]
중수|중창 시기/일시 1938년 - 내장사 명부전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 1월 12일 - 내장사 대웅전 전소[1951]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7년 - 내장사 해운당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8년 - 내장사 대웅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9월 27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내장사 향적원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내장사 종각 건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97년 - 내장사 해운당 중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내장사 대웅전 전소[2012]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내장사 대웅전 복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 내장사 대웅전 전소[2021]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재지 내장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90]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영은조사
전화 063-538-8741
홈페이지 http://naejangsa.or.kr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전통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내장사는 636년(백제 무왕 37) 영은조사(靈隱祖師)가 창건한 전통 사찰이다. 창건 당시 명칭은 ‘영은사(靈隱寺)’였다. 영은조사가 영은사를 창건할 당시 가람의 규모는 50여 동에 달하였다고 한다. 1098년(숙종 3) 행안(幸安)선사가 전각과 당우를 새로 건립하며 중창하였는데 1539년(중종 34) 조정의 명에 따라 소각되었다. 1557년(명종 12) 희묵대사(希默大師)가 법당과 요사채를 새로 건립하고 절 이름을 ‘영은사’에서 ‘내장사’로 바꾸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 희묵대사는 승군과 전라감영 관원들과 함께 『조선왕조실록』과 태조의 어진(御眞)을 전주에서 내장산 용굴암과 은봉암, 비래암 등에 옮기고 전쟁이 끝날 때까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지켰다고 한다. 내장사는 1597년 정유재란 때 전소되었다. 이후 1639년(인조 17) 부용대사가 중창하고 불상을 개금하였다. 1779년(정조 3) 영담대사(映曇大師)가 대웅전과 시왕전을 중수하고 요사채를 개축하였다.

1923년 학명(鶴鳴)이 절을 지금의 벽련암(碧蓮庵)[정읍시 내장산로 1220-74[내장동 576]]이 있는 위치로 옮겨 짓고 ‘벽련사(碧蓮寺)’라고 하였으나 공식 명칭은 ‘내장사’였으며 벽련사 대웅전은 내장사의 부속 사찰로 인식되었다. 1938년 매곡(梅谷)이 정읍시 내장산로 1220-74[내장동 576]에서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90]의 현 위치로 옮겨 대웅전을 중수하고 명부전과 요사채를 신축하였는데 1951년 1월 12일 6·25전쟁의 참화에 전소되었다. 1957년 주지 야은(野隱)이 요사인 해운당을 건립하였고 1958년 다천이 대웅전을 새로 건립하였다. 1992년 요사인 향적원(香積院)과 종각을 건립하였으며, 1997년 해운당을 중건하였다. 대웅전은 2012년 화재로 전소되었다가 2015년 복원되었는데, 2021년 방화로 다시 전소되었다.

[활동 사항]

법회는 정기 법회, 초하루 신중 법회, 일요 법회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부처님 오신 날을 비롯하여 역대 조사 다례제, 하안거·동안거 결제와 해제 법회 등 많은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불교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포교를 위하여 1년 과정의 불교대학[정읍불교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내장사신도회가 조직되어 있으며 신도수는 1,000여 명 정도이다. 2023년 현재 주지는 대원이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내장사 경내에는 극락전, 관음전, 명부전, 정혜루, 사천왕문, 일주문, 요사채 등이 조성되어 있다. 그밖에 다례문화원, 범종각, 삼성각, 무설전, 만세루, 해운당 등이 조성되어 있다. 사찰 입구에 있는 반야교를 건너기 전 오른편에 16좌의 석종형 부도와 석등 1좌, 6개의 탑비가 두 열로 가지런히 세워져 있는 내장사 부도전이 있다.

내장사의 부속 암자로 벽련암(碧蓮庵), 원적암(圓寂庵), 불출암(佛出庵), 정재암(淨齋庵), 영은암(靈隱庵), 월조암(月照庵), 삼청암(三淸庵), 금선암(金仙庵), 은선암(隱仙庵), 천진암(天眞庵), 남산암(南山庵), 용굴암(龍窟庵) 등이 있었으나 6·25전쟁 당시 대부분 소실되었다. 벽련암과 원적암만이 다시 중수되었고, 최근에 도덕암이 새로 조성되었다. 2023년 현재 대웅전 복원을 위한 기와 불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인 내장사조선동종(內藏寺朝鮮銅鐘)이 있다. 내장사조선동종은 1768년(영조 44) 제작되었으며, 총 높이는 80㎝, 몸체 길이는 60㎝, 입 지름은 50㎝이다. 크기는 소형이나 명문(明文)이 확실한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내장사조선동종은 장흥 보림사(寶林寺)에 있던 것을 1890년(고종 27)에 영담대사가 옮겨 온 것이며, 윤광형(尹光衡)과 조한보(趙漢寶)가 시주하여 1768년에 주조하였다는 명문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