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17
한자 古阜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Gobu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고부초,고부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교동3길 14[고부리 16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06년 8월 15일연표보기 - 사립 광화학교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08년 4월 22일연표보기 - 사립 광화학교 폐교
개칭 시기/일시 1908년 5월 25일연표보기 - 사립 광화학교에서 공립고부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1년 11월 1일연표보기 - 공립고부보통학교에서 고부공립보통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2년 7월 5일 - 고부공립간이학교 부설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2년 7월 10일 - 고부공립간이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14년 - 고부공립보통학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6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1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9년 4월 - 고부공립보통학교 고부관아 구 객사 개수하여 교사로 사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9년 10월 - 고부공립간이학교 폐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6년 5월 1일 - 백운간이학교 부설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고부공립보통학교에서 고부제일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1년 4월 1일연표보기 - 고부제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고부대화공립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5년 9월 24일연표보기 - 고부대화공립국민학교에서 고부국민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3월 1일 - 고부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고부국민학교에서 고부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8월 15일 - 고부초등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행사 및 기념탑 건립
최초 설립지 사립 광화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교동4길 18[고부리 166]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고부공립보통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교동3길 14[고부리 161]
현 소재지 고부초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교동3길 14[고부리 161]지도보기
성격 공립 초등학교
전화 063-536-3020[교무실]|063-536-3021[행정실]
홈페이지 https://school.jbedu.kr/gobu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지표는 ‘슬기롭고 예의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이고, 교육 목표는 배움을 즐거워하고 앎을 실천하는 어린이, 자신의 꿈과 끼를 펼치며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 다양한 문화를 즐기고 마을에서 행복을 느끼는 어린이, 배려와 존중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어린이 육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스스로 공부하고, 몸과 마음이 튼튼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이다.

[변천]

고부초등학교는 1906년 8월 15일 사립 광화학교로 개교하였다. 사립 광화학교는 당시 고부군수 정용기가 출자한 자금과 지역 유지들의 기부금으로 설립되어 정용기가 운영하였다. 개교 당시 사립 광화학교는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6고부향교의 명륜당을 교사로 사용하였다.

공립으로 개편되면서 1908년 4월 22일 사립 광화학교를 폐교한 뒤 1908년 5월 25일 공립고부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11년 11월 1일 「조선교육령」에 의하여 공립고부보통학교에서 고부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14년 고부군정읍군[현 정읍시]으로 통합되면서 고부군의 행정 기구가 정읍으로 이전되어 고부관아 일체가 학교용으로 이관되어 고부공립보통학교가 이전하였다. 고부관아는 1894년 1월 10일[음력] 고부농민봉기 당시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 농민군이 점령하여 탐관오리를 몰아내면서 동학농민혁명의 발단이 되었던 역사적 현장이다. 고부공립보통학교가 이전하면서 고부관아 건물은 전부 철거되었고 운동장 한쪽에 초석과 기단석 등 관아 건물의 일부만이 남아 있다.

1912년 7월 5일 고부공립간이학교 부설이 인가되어 1912년 7월 10일 개교하였다. 1919년 4월에는 고부관아 구 객사를 개수하여 교사로 사용하였다. 1919년 10월 고부공립간이학교를 폐교하였고, 1936년 5월 1일에는 백운간이학교를 부설하였다. 1938년 4월 1일 고부공립보통학교에서 고부제일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1년 4월 1일 고부제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고부대화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5년 9월 24일 고부대화공립국민학교에서 고부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3월 1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고부국민학교에서 고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 8월 15일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나용균(羅容均)[1895~1984]이 고부초등학교 출신이다.

[교육 활동]

고부초등학교는 문해력 향상을 위하여 아침 및 방과 후 시간에 고부향교의 교육 기부로 한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독서 생활의 습관화를 위하여 매일 아침 30분 독서와 학년 수준에 맞는 도서관 및 책방 나들이, 작가와의 만남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색 교육으로는 ‘마을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마을 교육 과정은 고부작은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환경 그림책 읽기, 학년별 교과 교육 과정 및 창의적 체험 활동 재구성을 통한 마을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 수업 및 체험 활동 등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최익민/ 작곡 이진태]

노령에 푸른 정기 호남에 뻗어/ 두승산 우러러본 성황산 기슭/ 빛나는 새 문화의 종을 울리며/ 평화의 전당을 고이 이루자/ 한마음 어린 정성 한길로 모아/ 힘차게 빛내자 고부초등학교// 영주교 흐르는 물 역사도 길다/ 천지봉 푸른 구름 이상에 넘쳐/ 한배님 거룩한 얼 이어 받들어/ 정의의 가꾼 몸 굳게 세우자/ 한마음 어린 정성 한길로 모아/ 힘차게 빛내자 고부초등학교// 반만년 배달 문화 고이 받들어/ 무궁화 송이송이 넑을 지니고/ 온 누리 길 진실이 가는 곳마다/ 바르게 뻗어 나 꽃을 피우자/ 한마음 어린 정성 한길로 모아/ 힘차게 빛내자 고부초등학교

2. 교목은 소나무이다. 사철 푸른 강건한 소나무처럼 눈이 와도 바람이 불어도 푸르게 푸르게 꿈과 희망을 가꾸는 어린이를 상징한다.

3. 교화는 철쭉이다. 성실한 태도로 끊임없이 노력하며, 따뜻한 마음으로 사랑을 베푸는 어린이를 상징한다.

[현황]

2023년 3월 현재 총 7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34명[남학생 18명, 여학생 1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10명 등 12명의 교원과 14명의 직원 등 총 26명이 재직하고 있다. 강당, 체육관, 보건실, 과학실, 희망도서관, 자료실, 돌봄교실, 컴퓨터실, 실과실습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2년 12월 30일 제113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8,17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