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64
한자 宋大和
영어공식명칭 Song Daehwa
이칭/별칭 송주언(宋柱彦),삼하(三河)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8년연표보기 - 송대화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3년 11월 - 송대화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
활동 시기/일시 1894년 1월 10일 - 송대화 고부농민봉기 참여
활동 시기/일시 1894년 9월 - 송대화 동학 고부 대접주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송대화 천도교 고부교구 설립
몰년 시기/일시 1919년 3월 28일연표보기 - 송대화 사망
출생지 고부군 서면 주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고부군 서면 주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
묘소 송대화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
성격 동학농민군
성별 남성
본관 여산
대표 경력 동학 고부군 대접주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 동학농민군 참여자.

[가계]

송대화(宋大和)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호는 삼하(三河)이다. 어릴 적 이름은 송주언(宋柱彦)이다. 할아버지는 송상악(宋相岳)이고, 아버지는 송두호(宋斗浩)이다. 아들은 송후섭이고, 동생은 송주성이다.

[활동 사항]

송대화는 1858년(철종 9) 전라도 고부군 서부면 주산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송두호의 영향으로 일찍이 동학에 입교하였고, 1893년(고종 30) 11월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을 몰아내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곧바로 한양으로 올라가 중앙 권신들을 척결하여 당시 조선 사회가 안고 있던 근본 모순을 해결하고자 아버지 송두호·동생 송주성·전봉준(全琫準) 등 19인과 함께 사발통문 봉기 계획에 참여하였다.

송대화는 1894년 1월 10일 고부농민봉기에 이어 백산봉기 때에도 참여하였으며, 9월에 동학 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으로부터 고부 대접주 임명장을 받았다.

1894년 9월 18일 최시형이 청산에서 기포를 결정하고 전국 동학도들에게 동원령을 내리자 10월에 손병희(孫秉熙)가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논산으로 향하여 전봉준의 부대와 합류하였는데, 송대화는 이때 김도삼·정종혁·홍경삼·송주옥 등과 더불어 고부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참여하였다.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이후 송대화의 행적은 분명하지 않으며, 1905년 초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아버지 송두호의 집터에는 동학교당[천도교 487교리강습소]이 건립되어 있어서 마땅히 거처할 곳이 없자 문중에서 마을 인근에 조그만 살림집을 지어 주었다고 한다.

송대화는 1906년 이성하·이문형·최흥렬·송국섭 등과 함께 의연금을 모아 천도교 고부교구를 설립하였다. 이후 고부교구에서 포교 활동을 하면서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송대화는 1919년 3월 28일 사망하였다.

[묘소]

송대화의 묘소는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에 있다.

[상훈과 추모]

송대화는 2005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