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65 |
---|---|
한자 | 李文炯 |
영어공식명칭 | Yi Munhyeong |
이칭/별칭 | 경언(京彦),가암(柯菴)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광환 |
출생 시기/일시 | 1875년 2월 22일![]() |
---|---|
활동 시기/일시 | 1893년 11월 - 이문형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 |
활동 시기/일시 | 1894년 1월 10일 - 이문형 고부농민봉기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35년 5월 3일![]() |
출생지 | 고부군 답내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 |
활동지 |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
묘소 | 이문형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두지리 대독마을![]() |
성격 | 동학농민군 |
성별 | 남성 |
본관 | 경주 |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군 참여자.
[가계]
이문형(李文炯)[1875~1935]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경언(京彦), 호는 가암(柯菴)이다. 아버지는 이상천(李相天)이고, 어머니는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다. 동생은 이만형(李萬炯)·이원형(李元炯)·이인형(李仁炯)이다. 이문형의 첫 번째 부인은 김정숙의 딸 도강 김씨(道康 金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이팔호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아들은 이재일·이재백이다.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에 건립되어 있는 동학혁명 모의탑에는 손자인 이종호만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활동 사항]
이문형은 1875년(고종 12) 2월 22일 고부군 답내면[현 정읍시 이평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에 입교하였고, 1893년 11월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을 몰아내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곧바로 한양[현 서울특별시]으로 올라가 중앙 권신들을 척결하여 당시 조선 사회가 안고 있던 모순을 해결하고자 전봉준(全琫準)·송두호(宋斗浩) 등 동지 19인과 함께 사발통문 봉기 계획에 참여하였다.
이문형은 1894년 1월 10일 고부농민봉기 이후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전주성 점령과 9월의 삼례봉기까지 참여하였다. 동학농민혁명 때 살아남은 이문형은 1906년 건립된 천도교 고부교구에서 종리원포덕과 대표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35년 5월 3일 사망하였다. 동학혁명 모의탑 등 기존 기록에는 이문형이 1917년 사망한 것으로 나오는데, 경주 이씨 족보에 따르면 1917년은 이문형의 아버지 이상천이 사망한 해이고 이문형은 1935년 세상을 떠난 것으로 확인된다.
[묘소]
이문형의 묘소는 정읍시 이평면 두지리 대독마을 경주 이씨 문중 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