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67 |
---|---|
한자 | 李成夏 |
영어공식명칭 | Yi Sungha |
이칭/별칭 | 이한하(李翰夏),금암(琴庵)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광환 |
출생 시기/일시 | 1861년![]() |
---|---|
활동 시기/일시 | 1893년 11월 - 이성하 동학농민혁명 사발통문 서명 |
활동 시기/일시 | 1894년 1월 10일 - 이성하 고부농민봉기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26년 12월 16일![]() |
출생지 | 팔선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
![]() |
거주|이주지 | 팔선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 |
성격 | 동학농민군 |
성별 | 남성 |
본관 | 전주 |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군 참여자.
[가계]
이성하(李成夏)[1861~192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금암(琴庵)이다. 어릴 적 이름은 이한하(李翰夏)이다. 아들은 이춘재·이춘근·이은직이며, 막내아들의 이름은 알 수 없다. 셋째 아들인 이은직은 1941년 일본대학 법문학부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작가로 활동하며 『탁류』를 비롯한 여러 편의 소설을 펴냈다.
[활동 사항]
이성하는 1861년(철종 12) 전라도 고부군 답내면 팔선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에 입교하였고,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을 몰아내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곧바로 한양으로 올라가 중앙 권신들을 척결하여 당시 조선 사회가 안고 있던 모순을 해결하고자 1893년(고종 30) 11월 전봉준(全琫準)·송두호(宋斗浩) 등 동지 19인과 함께 사발통문 봉기 계획에 참여하였다.
이성하는 1894년 1월 10일 고부농민봉기 이후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전주성 점령과 9월의 삼례봉기까지 함께하였다. 동학농민혁명 때 살아남은 이성하는 1906년 건립된 천도교 고부·흥덕·무장교구 등지에서 공선원, 전교사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1926년 12월 16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