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분포하는 식물의 모든 종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는 남동쪽으로는 노령산맥 줄기로 내장산국립공원과 입암산이 연결되어 있고, 북서쪽으로는 광활한 동진평야가 펼쳐져 있어 북서쪽이 터진 일종의 분지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하천은 남동쪽 내장산 줄기에서 시작하여 시내를 관통하여 북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13.3℃이며, 2021년 최고기온은 34.8℃, 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풍치 보존과 학술의 참고 및 번식을 위하여 보호하는 나무. 보호수는 문화, 전통, 이야기를 담고 있는 산림 문화 자산이다. 보호수로 지정된 나무 가운데 많은 나무가 해당 지역의 문화와 전설, 삶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 살아 있는 문화유산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정읍시에서는 수령이 오래되었거나 수형이나 품종이 희귀한 나무, 또는 풍치 보존과 학술의 참고 및...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굴거리나무 군락. 굴거리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는 대극과의 상록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상북도와 충청남도 이남 지역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내장산국립공원 지역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31에는 내장사(內藏寺) 앞 산봉우리로 올라가는 곳에 굴거리나무가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에 있는 수령 290년의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산지의 골짜기에서 자라는 단풍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정읍 내장산 단풍나무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31]에 있는 단풍나무이다. 2021년 8월 9일에 천연기념물 제5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에서 생육하는 장미과의 낙엽활엽교목.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의 변종이며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한자로 청실리(靑實梨)라고도 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방성길 22-14[두월리 1493]에서 자생하는 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는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에서 자생하는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와 함께,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보호되고 있을 만큼 희소한 종...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에 있는 수령 395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역에 분포하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주로 자라는 낙엽수이며,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심긴다. 가지가 사방으로 넓게 퍼져 자라고 수명이 길어서 예부터 마을 쉼터 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상징하는 단풍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 단풍나무는 주로 산림 지대의 골짜기에서 자생하는 단풍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 고루 분포한다. 단풍나무는 가을에 드는 단풍이 아름다워 정원수로도 많이 심기며, 홍단풍, 아기단풍, 세열단풍 등 많은 종류의 원예종이 개발되어 있다. 정읍시에서는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 내장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비자나무 자생지.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 자생하는 주목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내장산 이남의 낮은 산지에 자생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내장동 산221번지 일대에 수령 500~800년의 비자나무가 무리를 지어 자라는 비자나무 군락이 있다. 2023년 현재는 내장산이 비자나무의 북방 한계선으로 알려져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상징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구절초(九節草)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의 산간 지역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구절초’라는 한자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으며, 들국화, 구일초, 선모초, 고뽕 등으로도 불린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정읍 시민의 밝고 고상한 기상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에 자생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진노랑상사화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주로 내장산, 선운산, 불갑산 등의 낮은 산간 지대에 분포한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이며, 1998년 법적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2005년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이래로 2012...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에서 생육하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노랑붓꽃은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과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 지역에 관찰되었으나 현재는 한반도 남부 일부 지역에만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우 변산반도와 내장산 내장사 일대에 생육하고 있으며 특히 정읍시에서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자생지가 있어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난초과의 부생식물. 대흥란은 난초과의 풀로서, 생물의 사체·배설물·분해물 등에 기생하여 사는 부생식물이다. 일본, 중국, 태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온대 남부·중부 해안 지대의 습한 산기슭에서 숲속 썩은 식물에 기생하여 자란다. ‘대흥란’이라는 명칭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사찰인 대흥사 근처에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국립공원에 생육하는 열당과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백양더부살이는 열당과에 속하는 반기생 한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내장산과 백양산의 산지, 호남 지역, 제주도 등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내장동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에 생육하고 있다. 주로 쑥의 뿌리에 기생하여 쑥더부사리라고도 한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수련과의 한해살이풀 가시연꽃은 주로 오래된 연못이나 저수지에서 자라는 수련과의 한해살이풀이며, 인도, 중국, 일본 등지에서는 씨를 먹으려고 재배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이하의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식물이며, 1989년부터 특정야생동식물으로 지정되었고, 2005년부터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 일대에 자생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백양꽃은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주로 전라도 지역 산지에 분포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라남도 장성군 백양사 인근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백양꽃’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내장동 내장산 일대에 자생하고 있어 ‘내장 상사화’라고도 불린다. ‘가을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백양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