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농공단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 일대에 있는 산업 단지. 첨단과학산업단지는 전북 연구 개발 특구 지역과 지방 중소기업 특별 지원 지역으로 지정된 일반 산업 단지이다. 방사선 융합 기술 및 생명과학 기술 등 첨단 연구 성과의 산업화를 통하여 지역 경제 발전 및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첨단과학산업단지는 고속국도 제25호 내장산IC에서 10여 분 거리에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파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정읍시는 정읍 소재 중소기업의 전문화 및 공동화를 통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공업 단지 조성 사업을 신청하게 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하북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정읍제2일반산업단지는 급증하는 산업 단지 수요에 대처하고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는 지역 산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지방 중소기업 특별 지원 지역으로 지정된 산업 단지이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고용 증대로 지방 공업의 토착을 유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지역 특화 산업 및 비공해 업종을 집중 유치하려는 상황 속에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태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정읍제3일반산업단지는 급증하는 산업 단지 수요에 대처하고,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는 지역 산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성되었으며, 주로 생활용품을 생산하여 전북특별자치도 도청 소재지인 전주에 제공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정읍제3일반산업단지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고용 증대로 지방 공업의 토착을 유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신천리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되는 공업 단지이다. 정읍시는 익산시에 설립될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연계한 배후 지원 도시로 미래 성장 기반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식품 전용 특화 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철도산업농공단지는 철도 관련 공장과 협력 업체 유치에 따라 철도 산업이 집적화된 농공 단지이다. 철도산업농공단지는 2015년 10월 정읍시, 전라북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백산리 일원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신태인농공단지는 산업 입지 기반을 조성하여 공장을 유치하고, 이에 따른 고용 창출과, 지역 원자재 사용으로 농촌 소득 증대를 위하여 조성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오봉리 일원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태인농공단지는 태인면, 신태인읍, 칠보면 등 정읍 북부 지역에 산업 기반을 조성하여 공장 유치 및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에 활성화를 주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정...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덕안리 일원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고부농공단지는 정읍 지역에 산업 입지 기반을 조성하여 공장을 유치하고, 이에 따른 고용 창출 및 지역 원자재 사용으로 농촌 지역의 소득을 증대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농소농공단지는 산업 입지 기반을 조성하여 공장을 유치하고, 이에 따른 신규 고용 창출 및 지역 원자재 사용으로 농촌 지역의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한교리 일원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북면농공단지는 산업 입지 기반 조성으로 기업 및 공장을 유치하고, 이에 따른 고용 창출 및 지역 원자재 사용으로 농촌 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용리 일원에 있는 육가공 전문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의 소득원의 다양화와 안정화를 꾀하고 소득을 증대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 신용전문농공단지는 정읍 지역의 축산 농가 및 지역 주민의 소득 향상과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었다. 정읍은 한우를...
시장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전통 시장. 샘고을시장은 5일장과 상설 시장의 형태로 열리고 있다. 정읍 샘고을시장은 어려운 경제 여건과 다양한 유통 환경의 변화 등으로 날로 어려워져 가는 상황에서 전통 시장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범적인 전통 시장으로 거듭난 대표적인 시장이다. 고등학교 『지리』 교과서에 전국 5대 시장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20년대 정읍 지역[당시 정주읍]는 이미 개시된 시장이 한 군데밖에 없었고, 그나마 협소하고 시장의 구성은 매우 밀집되어 있었다. 1949년 화재 이후 시장을 확장할 수 없는 상태였으므로 시장 증설을 하자는 여론이 일었다. 읍내 기관장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시장 증설을 추진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신태인은 일제 강점기에 호남선 철도가 1914년 부설되고 신태인역이 설치됨에 따라 인구의 증가와 함께 지역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1917년 신태인시장을 개설하였다. 당시 신태인시장 부근에 도정 공장 및 창고가 있었고, 미곡의 집산지로서의 기능을 반영하여 이와 관련된 상설 점포가 다수 입지하였다. 주로 미곡을 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농소동에 있는 농수산 도매 시장. 정읍은 호남의 교통 중심지로 큰 상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농산물 유통이 단순히 생산자와 수집상이 직접 거래하는 영세적인 거래였다. 이 때문에 공정한 경매 절차를 거쳐 농산물의 원활한 유통과 적정한 가격을 유지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이익을 주는 농산물 도매 시장을 건립하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서남권의 중추적인 역할...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우산리에 있는 가축 시장. 정읍은 전국 2위 규모의 한우 사육 두수를 보유하였다. 2002년 재래 우시장이 문을 닫아 가축을 매매하는 데 많은 불편을 겪어 왔다. 정읍가축시장은 지역 축산 농가의 물류비를 절감하고, 전자 경매를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7년 12월 10일 개장하였다. 시비 2억 5000만 원, 자부담 2억 5000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에 있는 한우 산지 직판 마을. 한우마을은 주로 소비자가 정육점에서 직접 고기를 구매한 뒤, 인근 음식점에 들어가 상차림비를 내고 고기를 구워 먹는 형태로 운영되는 산지 직매장이다. 직접 고른 고기를 저렴하게 먹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산지까지 직접 가야 하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한우 산지를 중심으로 한우 직판 마을 형태가 형성되었다. 대표적인...
수리시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저수지. 동진강 지류인 정읍천에는 내장저수지와 입암저수지, 용산저수지 3개의 저수지가 있다. 각각 유역에 있는 논농사의 관개를 위하여 1950년대 저수지 공사를 시작하였다. 내장저수지는 정읍시 내장동 농업용수의 주 수원을 이루는 가장 큰 저수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만수리에 있는 저수지. 만수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에 있는 저수지. 부전저수지는 본래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이다. 공사 감독은 농업기반공사[현 한국농어촌공사]에서 하였으며, 공사비의 많은 부분을 국고 보조금으로 충당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장문리에 있는 저수지. 석우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에 있는 저수지. 수청저수지는 잦은 장마와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정읍 지역 내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주천리에 있는 저수지. 두승산과 방장산 사이에 생성된 정읍시 소성 분지는 오랫동안 천수에 의존하고 있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 쑥댕이마을 주민들은 입암면 천원천의 유수를 농한기에 지금의 소성면 중광리 원천저수지[중광저수지]에 받아서 농업용수로 공급받고자 유역 변경식 저수지를 구상하게 되었다. 거듭되는 건의로 천원천과 정읍천이 만나는 공평...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상산리에 있는 저수지. 오성저수지는 정읍시 옹동면 농업용수의 주 수원을 이루는 저수지이다. 정읍시 옹동면 상산리 지역에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며,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에 있는 저수지. 용산저수지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일부 지역 농업용수의 주 수원을 이루는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연월리에 있는 저수지. 입암저수지는 정읍시 입암면 지역 농업용수의 주 수원을 이루는 저수지이다. 입암면 연월리의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수력 발전소. 칠보발전소는 섬진강에 저장된 물을 노령산맥을 관통하는 수로를 이용, 낙차가 큰 동진강 수계 쪽으로 물을 떨어뜨리는 유역 변경식 발전소이다. 1943년 조선전기주식회사가 남선수력전기를 합병하여 1945년 칠보발전소 제1호기를 준공하였으며, 이어 1965년 칠보발전소 제2호기를 증설하였다. 이후 섬진강수력발전소로 계속 불리었으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에 있었던 수력 발전소. 운암수력발전소(雲庵水力發電所)는 1928년 10월 기공하여 1929년 9월 착공, 1931년 10월 발전소 및 수갱을 준공한 발전소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유역 변경식 수력 발전소이며, 섬진강 상류 운암저수지의 물을 3㎞ 지하 터널로 유역 변경함으로써 낙차를 이용하는 소규모 발전소였다.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에 있었으나 물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에 있는 다목적댐. 섬진강댐은 우리나라 다목적댐의 효시이다. 국내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칠보수력발전소와 1985년 2월 폐쇄된 운암수력발전소가 있는 콘크리트 중력식 댐이다. 칠보수력발전소용 취수 터널과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터널을 갖추고 있다. 섬진강댐은 동진강 하류, 계화간척지 등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호남 지방의 전력난을 해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