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
대전광역시 대전조차장역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역과 신태인역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역까지 연결하는 철도. 호남선(湖南線)은 대전에서 호남평야·나주평야를 연결하여 목포항에 이르는 간선 철도이다. 농산물의 수송 및 철도 주변 일대 개발을 목적으로 부설되었다....
-
서울특별시 용산역에서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 호남고속철도는 용산역에서 오송역, 익산역,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다. 전북특별자치도를 남북으로 지나며 정읍역에 정차한다. 정읍역을 지나는 호남고속철도가 2015년 4월 2일 개통됨에 따라 서울에서 광주광역시까지 이동 시간은 1시간 33분, 서울에서 목포까지 이동 시간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호남선과 호남고속철도의 철도역. 호남선의 개통 이후 정읍시 내에는 감곡역, 신태인역, 초강역, 정읍역, 천원역, 노령역이 운영되었으나, 2023년 현재 신태인역과 정읍역만이 영업하고 있다. 정읍역은 호남선 무궁화호, ITX-새마을, 호남고속철도 KTX, 수서고속철도[SRT]의 역으로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 신태인역(新泰仁驛)은 호남선의 철도역이다. 감곡역과 초강역 사이에 있으며, 무궁화호와 ITX-새마을열차가 정차한다....
도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큰 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시도, 군도가 있다. 1970년대부터 건설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인하여 인근 부안군, 김제시, 장성군, 순창군 등과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1973년 호남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충청권, 광주권과의 접근성도 높아졌다. 2021년 현재 정읍에는 고속도로 1...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남북으로 지나 충청남도 논산시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 고속국도 제25호는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을 기점으로,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을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호남 지역을 충청권과 수도권으로 남북으로 연결하여 준다....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에서 정읍시 신태인읍과 산내면을 경유하여 부안군과 대구광역시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 제30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부안과 대구의 지명을 따서 부안대구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동서 축 노선으로 짝수 번호인 제30호가 부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서 소성면을 경유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순천을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 제22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정읍과 순천의 지명을 따서 정읍순천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동서 축 노선으로 짝수 번호인 제22호가 부여되었다....
-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거쳐 충청남도 서산시에 이르는 일반국도. 국도 제29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보성과 서산의 지명을 따서 보성서산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남북 축 노선으로 홀수 번호인 제29호가 부여되었다....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경유하여 평안북도 신의주시에 이르는 일반국도. 국도 제1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목포와 신의주의 지명을 따서 목포신의주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최초의 도로로 ‘1번’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에서 정읍시를 거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일반국도. 국도 제21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남원과 이천의 지명을 따서 남원이천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남북 축 노선으로 홀수 번호인 제21호가 부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정읍시외버스터미널은 정읍 시민의 교통 편의 증진과 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 있는 고속버스 터미널. 정읍고속버스터미널은 정읍 시민의 교통 편의 증진과 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공영 버스 터미널. 신태인공영터미널은 인구가 증가한 신태인 지역의 교통 편의 증진 및 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도록 건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공용 버스 터미널. 내장산공용터미널은 정읍 시내와 내장사를 연결하여 단풍철 내장산을 찾는 많은 관광객의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태인터미널은 태인 지역의 교통 편의 증진 및 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터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도로, 철도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산지 등을 통과하도록 만든 구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및 시도, 군도 등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22개의 터널이 건립되었다. 정읍시의 최장 터널인 국도 제1호의 호남제2터널은 길이가 1,720m이며, 정읍시 입암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을 연결한다. 정읍시 용산동의 내장산터널은 177m로 정읍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와 전라남도 장성군을 연결하는 고속국도 제25호에 있는 터널. 1973년 개통 당시에는 사남(四南)터널로 부르다가, 1988년 호남터널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용호리와 감곡면 통석리를 연결하는 터널. 솥튼터널은 솥튼재를 관통하므로 붙은 이름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과 구룡동을 연결하는 터널. 용호터널은 구룡동에 있는 용호저수지에서 명칭을 따왔다....
교량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도로, 철도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계곡을 넘어가도록 만든 고가 구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및 시도, 군도 등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270개소의 교량이 건립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최장 교량은 국도 제21호의 백석교로 길이는 460.5m이며 정읍시 부전동과 순창군 쌍치면을 연결한다. 태인면 고천리의 국도 제1호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백석마을 부근에 있는 교량. 백석교는 부근에 있는 백석마을에서 따왔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교량. 정주교(井州橋)는 정읍천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정읍 시내를 남북으로 이어 주는 정읍의 대표적인 근대 교통 시설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