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05
한자 甘谷面
영어공식명칭 Gamgok-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으로 개편
성격 법정면
면적 41.56㎢
가구수 1,724가구
인구[남/여] 2,693명[남 1375명|여 1,318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감산면(甘山面)에서 감(甘) 자, 사곡면(沙谷面)에서 곡(谷) 자를 따서 감곡면(甘谷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현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태인군(泰仁郡) 감산면(甘山面), 은동면(銀洞面), 사곡면(師谷面)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으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이 되었다.

정읍군 감곡면이 출범하기 전에 감산면 소재지는 감산마을, 은동면 소재지는 진교마을, 사곡면 소재지는 곽동마을에 각각 있었다. 3개의 면은 규모가 작고 태인현의 외곽 지역에 위치하여 주민 대부분은 농업 또는 옹기와 무쇠솥을 생산하는 이들로 구성되었다. 근현대에 형성된 마을이 절반에 가깝다. 1971년 목조 단층 기와 건물이던 면사무소가 불에 타면서 주민등록 자료 등이 대부분 유실되었다. 1987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산전마을이 신태인읍으로 편입되었으며, 1991년 1월 1일 행정 분리 조정으로 학성마을을 학일마을과 학이마을로 분리하였다. 1995년 9월 30일 면사무소 신청사를 준공하였다.

[자연환경]

천애산(天涯山)과 백산(栢山)이 동서 양쪽에 솟아 있고, 가운데로 길게 구릉 지대가 자리하고 있다. 명금산(鳴琴山)은 정읍시 신태인읍과 김제시 부량면 사이에 있으며 감곡면 용곽리는 명금산 북쪽에 있다. 승방산(勝芳山)은 신태인 백산과 명금산을 이어 주며 승방리용곽리 사이에 있다. 유정리삼평리 일대는 바닷물이 들어오던 곳을 간척하여 삼보평야를 이루고 있다. 토양을 살펴보면 고지대는 사질 토양이고 중간 지대는 점질 토양이며 저지대는 질찰흙 토양으로 각각 달리하고 있다. 천애산 북쪽 통사마을, 석정마을, 순촌마을에서 각기 발원한 물길이 지방도 제701호와 지방도 제710호가 만나는 자리 근처에서 원평천과 합류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감곡면의 면적은 41.56㎢이며, 인구는 1,724가구, 2,693명[남자 1375명, 여자 1,318명]이다. 감곡면은 정읍시의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옹동면 용호리, 남쪽으로 태인면, 서쪽으로 신태인읍, 북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와 접하고 있다.

감곡면방교리(芳橋里), 진흥리(眞興里), 대신리(大新里), 통석리(通石里), 계룡리(桂龍里), 화봉리(花峰里), 유정리(儒丁里), 삼평리(三坪里), 용곽리(龍郭里), 승방리(勝芳里), 오주리(五舟里) 등 11개의 법정리와 49개의 행정리가 소속되어 있으며, 감곡면사무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원삼1길 37[방교리 613]에 있다.

천애산 줄기인 고지대는 산중을 개간하여 일군 밭에서 생강이나 고추가 생산되고, 중부는 야산 지대로 둘러싸여 있다. 높이 50m 미만의 낮은 구릉지에 작은 저수지가 많이 축조되어 풍촌제, 순촌제, 석정제, 신순촌제, 유치제, 산지제, 진농제, 진흥제, 원삼제, 가락제, 신지제, 괴동제, 오공제, 오주제, 감산제, 반룡제[호리제], 관봉제, 동곡제, 소제제, 대포제, 천촌제, 승방제, 소관제, 녹동제, 화농제, 천곡제 등 26개소의 저수지가 있다. 삼평리유정리 일대는 넓은 곡창 지대를 이루고 있다.

감곡면의 교육 기관으로 감곡초등학교감곡중학교, 학력 인정 평생교육 시설인 남일초중고등학교가 있다. 주요 공공 기관으로 감곡면사무소와 감곡파출소, 서남권추모공원 등이 있다. 문화 체육 시설로 감곡문화체육센터, 감곡문화센터[감골작은도서관], 감곡면게이트볼장이 있다. 주요 도로로는 국도 제1호, 고속국도 제25호, 호남고속철도가 지나가며 지방도 제710호, 군도 제20호, 시도 제9호, 시도 제13호가 연결되어 있다. 지방도 제736호가 감곡면 소재지를 우회하며 통과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