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12년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의 연혁, 인문 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읍지. 『고부군읍지(古阜郡邑誌)』 편찬 당시 전라도 고부군은 현재 행정 구역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고부면·영원면·소성면·덕천면·이평면·정우면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의 백산면,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의 부안면 북부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 있었다. 1914년 행정 구역을...
-
1789년 전라도 정읍현의 연혁, 인문 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읍지. 전라도 정읍현은 본래 백제 시대에 정촌현(井村縣)으로 불리던 지역으로, 신라 경덕왕 때 정읍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전라도 태인군(泰仁郡)에 소속되었다가, 다시 전라도 고부군(古阜郡)으로 이속되었다. 후에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조선 시대에 이르러 현감(縣監)으로 바꾸었다. 정읍현은 19세기 말 지방 제...
-
1789년 현재의 정읍 지역인 태인현의 연혁, 인문 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읍지. 전라도 태인현 지역은 백제 때 대시산군(大尸山郡)과 빈굴현(賓屈縣)이 있었다. 대시산군은 신라에서 태산군(太山郡)으로 이름이 바뀌고, 빈굴현(賓屈縣)은 신라에서 무성현(武城縣), 고려 시대에 인의현(仁義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1409년(태종 9) 태산군과 인의현을...
-
1895년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읍지. 『호남읍지』[1895]는 전라도의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와 사례를 합편하여 1895년(고종 32)에 편찬한 지방지로 전라감영(全羅監營)에서 1899년 간행하였다. 편자는 알 수 없다....
-
1899년 편찬된 『전라북도각군읍지』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태인군·정읍군 읍지. ‘전라북도’라는 지명은 1896년(고종 33) 전국이 13도로 개편될 때 이전 전라도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나누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
18세기 『비변사인방안지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의 지도. 『비변사인방안지도』는 비변사에서 군사 목적으로 편찬한 『호남지도(湖南地圖)』에 수록된 전라도 고부군(古阜郡), 정읍현(井邑縣), 태인현(泰仁縣)의 채색 방안 지도이다. 『호남지도』는 7첩 56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1750년대 편찬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태인현·정읍현의 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회화식 채색 필사본 지도로, 우리나라의 도별 군현 지도(郡縣 地圖)뿐만 아니라 팔도총도(八道總圖), 서북피아양계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 등도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20...
-
1861년 편찬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 정읍현, 태인현 지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1861년 편찬한 목판본 전국 지도첩이며, 22첩으로 이루어진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 지도첩이다. 매첩은 동서 방향으로 길쭉한 지도인데, 매첩을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면 전체 지도가 된다. 목판본 총 22첩 중 제17첩 4면과 5...
-
조선 후기 제작된 『동여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동여도(東輿圖)』는 1조 23첩으로 된 채색 지도이다. 고산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저본이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와 『대동여지도』 제작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본이 2002년 12월 7일 보물 제1358-1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
1834년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청구도(靑邱圖)』는 조선 전역의 지리 정보와 「동방제국도(東方諸國圖)」, 「사군삼한도(四郡三韓圖)」, 「삼국전도(三國前圖)」, 「본조팔도성경합도(本朝八道盛京合圖)」와 4면 크기의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高麗五道兩界州縣總圖)」, 「본조팔도주현도총목(本朝八道州縣...
-
1895년 제작된 『청구요람』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청구요람(靑邱要覽)』은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분첩식 대축척 전국 지도인 『청구도(靑邱圖)』를 1895년(고종 32)에 모사한 이본이다. 2024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청구요람』 외에 『청구도』 이본으로는 국내에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청구...
-
1872년 제작된 『1872년지방지도』 중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1872년지방지도』는 전국의 군현 및 영(營), 진보(鎭堡), 목장(牧場), 군사 요충지 등에서 각각 작성하여 중앙 정부에 제출한 지도이다. 지도 제작의 원칙이나 규정, 수록 정보의 기준 등이 없이 각 지방의 사정과 특색에 맞게 제작되었기에 각각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 제작되었던 지도...
-
조선 후기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18세기에 제작된 관찬 군현 지도집이 민간에 유출되면서 만들어진 지도집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를 원본으로 삼고 있으므로 『광여도』에는 18세기 전반기의 사정이 담겨 있다. 총 7책이며, 전라도 고부군(古阜郡)·정읍현(井邑縣)·태인현(泰仁縣)은 3책에 수록하...
-
18세기 후반 편찬된 『여지도(輿地圖)』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 정읍현, 태인현을 포함한 전라도 지도. 『여지도(輿地圖)』는 조선 시대의 군현별 지도 및 조선 전도, 중국 지도 등을 망라한 지도책이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2024년...
-
조선 후기 제작된 『동국여지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 태인현, 정읍현을 비롯한 전라도 지도.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는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인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서화첩에 수록된 조선 전도로서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 尹氏 家傳 古畵帖 一括)에 포함되어 있다.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은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
-
1936년 장봉선이 정읍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 『정읍군지』[1936]는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신천리 광조마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중광리] 출신의 장봉선(張奉善)[1902~1972]이 정읍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자비로 간행한 향토지이다. 간행처는 장씨 집성촌 재실로 알려진 이로재(履露齋)이다....
-
198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역사·문화·정치·경제·지리 등을 담아 간행한 향토지. 『정읍군사』[1985]는 정읍군 문화공보실에서 정읍시의 역사·문화·정치·경제·지리 등을 총망라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
196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의 유림들이 편찬한 향토지. 『태인지』[1965]는 196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유림들이 정읍 지역의 역사, 지리, 인물 등을 세세히 정리하여 편찬한 향토지이다. ‘태인’이라는 지명은 1409년(태종 9) 고려 시대의 태산군(太山郡)[또는 태산군(泰山郡)]과 인의현(仁義縣)을 합치면서 만들어졌다....
-
2003년과 2010년에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정치·경제·역사·문화 등을 총망라한 향토지. 『정읍시사』[2003, 2010]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향토지이다. 2003년 간행된 『정읍시사』는 정읍시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하였고, 2010년 간행된 『개편 정읍시사』는 개편 정읍시사발간추진위원회에서 편찬하였다....
-
200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 『영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에서 영원면지추진위원회를 꾸려 펴낸 면지이다. 영원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2005년에 간행하였다....
-
2007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 『소성』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서 2007년에 펴낸 면지이다. 소성면의 자연과 인문 환경, 역사와 문화 등을 세세히 정리하여 간행하였다....
-
201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의 지리·정치·경제·역사·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 『태인지』[2015]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2015년에 간행한 면지이다. 태인면의 지리·정치·경제·역사·문화 등을 집대성하여 간행하였다....
-
201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에서 간행한 읍지. 『신태인 백년사』는 2015년 2월 21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
201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에서 간행한 면지. 『산외』는 2015년 6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
2016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에서 간행한 면지. 『옹동의 숨결』은 2016년 7월 15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옹동면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옹지면과 태인현의 동쪽이라는 의미의 동촌면이 합쳐져 ‘옹동면’이 되었다....
-
2019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에서 간행된 면지. 『입암의 얼』은 2019년 12월 28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에서 간행된 향토지이다....
-
2019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에서 간행한 면지. 『정우면 백년사』는 2019년 6월 28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부군(古阜郡)의 벌미(伐未), 수금(水金), 오금(梧琴) 등 세 개의 면을 합병하여 정토면(淨土面)이라 하고, 고부군의 우일(雨日), 장순(長順) 등 두 개의 면을 합하여 우순...
-
2021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서 간행한 면지. 『고부』는 2021년 12월 20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고부면은 정읍시의 서부 지역에 해당하며,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이다. 『고부』에는 고부면의 지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유적 등을 세세히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
2022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에서 간행한 면지. 『이평면 백년사』는 2022년 2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이평면은 1914년 고부군 답내면과 궁동면을 통합하여 정읍군 이평면이 되었으며, 1995년 도농 통합으로 정읍시 이평면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