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지리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89
한자 人文 地理
영어공식명칭 Human Geograph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형성 과정, 인구 변화, 역사 및 문화재 등의 인문 지리적 특성.

[개설]

정읍시는 전북특별자치도 14개 시군 중의 1개 시(市) 지역으로, 전북특별자치도의 서남부에 자리하고 있다. 정읍시의 동쪽은 임실군과 완주군, 서쪽은 부안군과 고창군, 남쪽은 순창군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쪽은 김제시와 행정 구역을 접하고 있다. 경위도상의 위치는 동경 126° 43′~127° 07′, 북위 35° 27′~35° 45′이며, 면적은 692.78㎢이다. 2023년 6월 현재 인구는 5만 4758가구, 10만 4236명[남자 5만 1884명, 여자 5만 2352명]이다. 행정 구역으로는 1개 읍[신태인읍], 14개 면[북면·입암면·소성면·고부면·영원면·덕천면·이평면·정우면·태인면·감곡면·옹동면·칠보면·산내면·산외면], 8개 행정동[수성동·장명동·내장상동·시기동·초산동·연지동·농소동·상교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청은 수성동에 있다.

[형성 과정]

정읍시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고부군(古阜郡)·태인현(泰仁縣)·정읍현(井邑縣)이 통합하여 이루어졌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는데, 고부군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태인현대시산군(大尸山郡)과 빈굴현(賓屈縣), 정읍현정촌현(井村縣)이었다.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각각 고부군(古阜郡)·태산군(太山郡)[또는 泰山郡, 大山郡]·정읍현(井邑縣)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시대인 1018년 태산군정읍현고부군의 속현이 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인 1409년(태종 9)에 태산현과 인의현태인현으로 병합되었고, 고부군정읍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고 정읍군으로 통합되었다. 이 당시 고부군의 15개 면이 7개 면으로, 태인군의 18개 면이 8개 면으로, 정읍군의 8개 면이 4개 면으로 통폐합되어 19개 면으로 정읍군에 병합되었다. 1930년 12월 6일 정읍면은 정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다시 정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35년 3월 1일 우순면과 정토면이 정우면으로 통합되었고, 보림면은 태인면북면으로 분할되었다. 1940년 11월 1일 용북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었으며, 그 외 지역은 정읍군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읍군정주시가 통합되어 도농 통합시인 정읍시가 되었다[1읍 14면 12동]. 1998년에는 12개의 행정동이 8개 동으로 통폐합되었다[1읍 14면 8동].

[인구 변화]

1981년 7월 1일 정주시정읍군이 분리된 이후 정주시 지역은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고, 정읍군 지역은 감소하였다. 정주시 지역은 1970년 4만 9667명, 1980년 6만 6009명, 1985년 7만 9332명, 1990년 8만 6850명으로, 1970~1990년의 20년 사이에 약 85%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이촌향도에 의한 인구 유입과 함께 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주변 농촌 지역의 인구를 흡수한 결과이다. 1990년 인구 이동 상황을 보면 전출이 1만 4300명, 전입이 1만 7980명으로 전입이 더 많았으며, 전입·전출 모두 도외 이동이 많았다. 한편 정읍군 지역은 1970년 25만 9570명, 1975년 24만 8156명, 1980년 22만 964명, 1981년 정주시가 분리되면서 15만 4765명, 1985년에는 12만 476명, 1990년 9만 8434명으로 10만 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1995년 정주시정읍군의 통합 이후 정읍시의 인구는 1995년 15만 1353명, 2000년 15만 2574명, 2005년 12만 9868명, 2010년 12만 3512명, 2015년 11만 8137명, 2020년 11만 1239명, 2023년 10만 4458명으로 감소하였다.

2020년 기준 인구는 11만 1239명, 세대수는 5만 4335세대, 세대당 인구는 2.0명이며, 인구 밀도는 160.5명이다. 인구가 많은 행정 구역은 내장상동[2만 778명], 수성동[1만 8063명], 초산동[1만 1030명]이며, 읍면 지역에서는 신태인읍[5,664명], 북면[4,533명], 태인면[3,577명] 순이다. 인구가 적은 지역은 산내면[1,231명], 옹동면[1,736명], 덕천면[1,877명]이다. 8개 행정동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7만 685명[64%], 15개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만 554명[36%]을 차지하고 있다. 연령별 인구 구조에서는 0세~14세까지의 인구 비중이 10%, 15세~64세 인구 비중이 62.1%,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7.9%를 차지한다. 출생자수는 368명인 데 비하여, 사망자수는 1,278명으로 인구의 자연적 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인구 이동에서는 전입 1만 3017명, 전출 1만 4149명으로 전출 인구가 더 많아 사회적 감소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인구는 2,731명으로 정읍시 인구의 2.45%를 차지하는데, 출신 국가별로는 베트남[1,134명]과 네팔[321명], 한국계 중국[196명], 중국[180명] 등이다.

[현황]

정읍시는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 유역을 중심으로 충적 평야가 넓게 발달하여 김제평야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곡창 지대이다. 그리고 지방 산업 단지 4개[정읍제1일반산업단지, 정읍제2일반산업단지, 정읍제3일반산업단지, 정읍첨단과학산업단지], 농공 단지 8개[고부농공단지, 농소농공단지, 북면농공단지, 신용전문농공단지, 신태인농공단지, 태인농공단지, 소성식품특화농공단지, 철도산업농공단지]가 있다.

과거에는 주변의 고창군, 순창군, 부안군까지 상권이 미쳤으나, 현재는 상업 기능이 매우 위축되었다. 시장은 시기동샘고을 시장, 연지동연지시장 등이 있으며, 신태인읍·태인면·칠보면 등에서 정기 시장이 열리고, 신태인읍에서는 가축시장이 열린다.

교통 조건은 정읍역을 중심으로 호남선 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익산과 광주를 연결하고 있으며, 고속국도 제25호가 전주와 광주를 남북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고속도로 IC는 태인IC, 정읍IC, 내장산IC 등 3개가 있다. 또한 남북으로는 국도 제1호국도 제29호가 연결되고, 동서로는 국도 제30호국도 제29호가 연결되고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고부향교, 정읍향교, 태인향교가 있었으며, 근대 교육 기관은 사립 광화학교[1906년]를 시작으로 고부보통학교[1908년], 태인·화호·칠보의 초등 교육 기관과 초남학교, 정읍공립농업학교, 정읍공립여학교 등이 차례로 세워졌다. 2023년 현재 유치원 38개소, 초등학교 34개교, 중학교 19개교[공립 12개, 사립 7개], 고등학교 13개교[일반계 10개, 특성화 3개, 공립 4개, 사립 9개] 그리고 전북과학대학이 있다.

지역의 대표 축제 및 행사로는 정읍사문화제, 정읍구절초꽃축제, 동학농민혁명기념제, 정읍벚꽃축제가 있으며, 마을 축제로는 피향정문화축제태산선비문화제 등이 대표적이다. 정읍사문화제는 매년 10월에 개최되며, 2022년 제33회를 진행하였다. 정읍사문화제는 현존 최고(最古)의 백제가요 「정읍사」와 정읍사 여인을 기리는 문화 축제이다. 정읍구절초꽃축제정읍 구절초 지방정원[전북지방정원 1호]에서 2007년부터 매년 가을에 개최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정읍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행사로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에 정읍 황토현 전적 일원에서 진행되며 2023년 제56회를 맞이하였다.

정읍은 내장산국립공원의 가을단풍으로 전국에서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사계절 관광지로 도약하고자 내장산관광테마파크가 조성되었다. 정읍 황토현 전적·정읍 전봉준 유적·만석보지동학농민운동 관련 유적 등과의 연계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