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 신라 시대 정읍 지역의 수령을 지낸 문신. 최치원(崔致遠)[85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고운(孤雲)이다. 경주 최씨의 시조이다. 아버지는 곡사(鵠寺)의 중창 불사에 참여하였던 최견일(崔肩逸)이고, 동생은 승려 현준(賢俊)이다....
-
고려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전원균(田元均)[1144~1218]의 본관은 태산(泰山)이며, 자는 진정(眞精)이다. 아버지는 신호위대장군 전총문(田寵文)이고, 어머니는 태산 허씨(泰山 許氏)이다. 부인은 계씨(桂氏)이고, 아들 전보룡(田甫龍)·전득량(田得良)·전보귀(田甫龜)·전보린(田甫麟)이다. 딸은 네 명인데 모두 벼슬아치의 아들과 혼인하였다....
-
고려 후기 정읍 출신의 승려. 백운화상(白雲和尙)[1299~1374]은 1299년(충렬왕 25) 고부[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일대]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에 출가하여 경한(景閑)이라는 법명을 받은 뒤 전국의 여러 사찰에 머무르며 수행에 정진하였다. 1351년(공민왕 원년) 원나라에 건너가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중국 임제종(臨濟宗)의 개조 의현(義玄...
-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이자 승병장. 희묵대사(希黙大師)[?~1597]는 영은사(靈隱寺)의 승려였다. 1557년(명종 12) 영은사 자리에 법당과 당우를 새로 건립하여 중창하고 산속에 무궁무진한 보물이 숨어 있다고 하여 절 이름을 내장사(內藏寺)로 정하였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승려. 지엄(智嚴)[1496~1534]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속명은 송미대(宋彌臺)이다. 법호는 야로(野老)이고, 당호는 벽송(碧松)이다. ‘지엄’은 법명이다. 아버지는 선교랑 송복생(宋福生)이고, 어머니는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다. 휴정(休靜)이 찬한 지엄의 일대기에는 어머니가 왕씨(王氏)라고 기록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안의(安義)[1529~1596]의 본관은 탐진(眈津)이며, 자는 의숙(宜叔), 호는 물재(勿齋)이다. 어릴 적 이름은 안충렬(安忠烈)이다. 병조판서를 지낸 안사종(安士宗)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안기현(安起玄)이다....
-
조선 후기 정읍의 서현사에 배향된 문신. 박문효(朴文孝)[1568~1593]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백원(百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중선(朴仲善)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박원종(朴元宗)이다. 아버지는 박운(朴雲)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송만필(宋萬弼)의 딸 진천 송씨(鎭川 宋氏)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도봉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김회련(金懷鍊)[?~?]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아버지는 고려 말 문하평리를 지낸 김주(金柱)이다. 부인은 예천 이씨(醴泉 李氏)이고, 아들은 도강 김씨 정읍 입향조인 김덕방(金德芳)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이자 단종의 장인. 송현수(宋玹壽)[?~1457]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희(宋禧)이고, 할아버지는 송계성(宋繼性), 아버지는 지중추원사 송복원(宋復元)이다. 부인은 민소생(閔紹生)의 딸 여흥민씨(驪興 閔氏)이고, 아들은 송거(宋琚)이다. 딸이 단종(端宗)의 정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무신. 송익손(宋益孫)[1419~1482]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익지(益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전서 송희(宋禧)이고, 할아버지는 송계양(宋繼陽)이다. 아버지는 송경(宋瓊)이고, 아들은 송련(宋璉)·송호(宋瑚)·송류(宋瑠)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송연손(宋演孫)[1460~150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선원(善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희(宋禧)이고, 할아버지는 송계성(宋繼性), 아버지는 송복리(宋復利)이다. 부인은 김보칠(金甫漆)의 딸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고, 아들은 송세림(宋世琳)·송세형(宋世珩)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이희맹(李希孟)[1475~1516]의 본관은 고부(古阜)이며, 자는 백순(白淳), 호는 익재(益齋)이다. 아버지는 이종근(李從根)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무성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화가. 신잠(申潛)[1491~1554]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영천자(靈泉子)·아차산인(峨嵯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고, 할아버지는 신주(申澍)이다. 아버지는 예조참판 신종호(申從濩)이고, 어머니는 세종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딸...
-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광(李洸)[1541~1607]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사무(士武), 호는 우파(雨波)·우계산인(雨溪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 이의무(李宜茂)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행(李荇)이다. 아버지는 중추부도사 이원상(李元祥)이고, 어머니는 동부승지 신옥형(申玉衡)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청주목사 이증영(李增榮...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학자. 손홍록(孫弘祿)[1537~1610]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경안(景安), 호는 한계(寒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문관부제학 손비장(孫比長)이고, 할아버지는 손세기(孫世基)이다. 아버지는 손숙노(孫叔老)이고 어머니는 최후신(崔後臣)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한 문신이자 문인. 정극인(丁克仁)[1401~1481]의 본관은 영성(靈城)[영광(靈光)]이며, 자는 가택(可宅), 호는 불우헌(不憂軒)·다헌(茶軒)·다각(茶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찬(丁贊)이고, 할아버지는 정광기(丁光起)이다. 아버지는 정곤(丁坤)이고, 어머니는 안정(安挺)의 딸 죽산 안씨(竹山 安氏)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송상현(宋象賢)[1551~1592]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 또는 한천(寒泉)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승은(宋承殷)이고, 할아버지는 송전(宋琠)이다.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송복흥(宋復興)이고, 어머니는 김승석(金承碩)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부인은 이온(李熅)의 딸 성주 이씨(星州 李氏)이고, 아들은 송인...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이대축(李大畜)[1555~1597]의 본관은 고부(古阜)이며, 자는 대현(大顯), 호는 문재(文齋)이다. 고부 이씨 감사공파(監士公派) 파조인 이형즙(李亨楫)의 후손이다....
-
조선 전기 정읍현감을 지낸 지방관이자 무신. 이순신(李舜臣)[1545~1598]은 1545년 3월 8일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8길 19[인헌동 1가 31-2]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할아버지는 이백록(李百祿)이며, 아버지는 이정(李貞), 어머니는 변수림(卞守琳)의 딸 초계 변씨(草溪 邊氏)이다. 형은 이희신(李...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김준(金浚)[1582~1627]의 본관은 언양(彦陽)이며, 자는 징언(澄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어모장군 김수건(金守乾)이고, 할아버지는 서부참봉 김원(金轅)이다. 아버지는 김광필(金匡弼)이고, 어머니는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임실현감 남철(南澈)의 딸 의령 남씨(宜寧 南氏)이고, 아들은 김진성(金振聲)·김유성(金有聲)·김계성(金啓聲)·김...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학자. 김후진(金後進)[1540~1620]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비승(丕承), 호는 원모당(遠慕堂)·사재(思齋)·연담(蓮潭)이다. 할아버지는 김희열(金希說)이고, 아버지는 김약우(金若愚)이다. 아들은 김지백(金知白)·김취백(金就白)·김장백(金長白)·김여백(金汝白)이다....
-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문신. 이항(李恒)[1499~1576]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항지(恒之), 호는 일재(一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이유(李洧)이고, 할아버지는 이주(李湊)이다. 아버지는 의영고주부 이자영(李自英)이고, 어머니는 소경전참봉 최인우(崔仁遇)의 딸 완산 최씨(完山 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총부경력 신백수(辛伯粹)의 딸 영월 신씨(寧越...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송세림(宋世琳)[1479~1519]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헌중(獻仲), 호는 눌암(訥庵)·취은(醉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계성(宋繼性)이고, 할아버지는 송복리(宋復利)이다. 아버지는 한산군수 송연손(宋演孫)이고, 어머니는 김보칠(金甫漆)의 딸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우승지 강삼(姜參)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학자. 정언충(鄭彦忠)[1491~155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양구(良久), 호는 묵재(默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안(鄭繼安)이고, 할아버지는 정지손(鄭智孫)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정온(鄭溫)이고, 어머니는 이천 서씨(利川 徐氏)이다. 부인은 김응상(金應商)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고, 아들은 정상(鄭祥)·정서(鄭瑞)·정경(鄭慶)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한 학자. 김점(金坫)[?~1560]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경숙(慶叔), 호는 매당(梅堂)이다. 아버지는 김석옥(金錫沃)이다. 사위는 기대승(奇大升)의 장남 기효증(奇孝曾)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김대립(金大立)[1550~?]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신부(信夫), 호는 월봉(月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희윤(金希尹)이고, 할아버지는 삼척부사를 지낸 김약회(金若晦), 아버지는 김원(金元)이다. 부인은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고, 아들은 김관(金灌)이다. 사위는 양시진(楊時晉)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김약묵(金若默)[1500~1558]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태용(太容), 호는 성재(誠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석정(金石鼎)이고, 할아버지는 김윤손(金潤孫)이다. 아버지는 김희석(金希奭)이고, 어머니는 송연손(宋演孫)의 딸 여산 송씨(礪山 宋氏)이다. 부인은 윤원(尹源)의 딸 여주 윤씨(驪州 尹氏)이고, 아들은 김복억(金福億)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김복억(金福億)[1524~1600]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백선(伯善), 호는 율정(栗亭)·사우당(四優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윤손(金潤孫)이고, 할아버지는 김희석(金希奭)이다. 아버지는 양주목사 김약묵(金若黙)이고, 어머니는 윤원(尹源)의 딸 여주 윤씨(驪州 尹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한석년(韓錫年)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두...
-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식(李植)[1584~1647]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추부도사 이원상(李元祥)이고, 할아버지는 이섭(李涉)이다. 아버지는 안기도찰방 이안성(李安性)이고, 어머니는 공조참판 윤옥(尹玉)의 딸 무송 윤씨(茂松 尹氏)이다. 부인은 심엄(沈㤿)의...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신천익(愼天翊)[1592~1661]의 본관은 거창(居昌)이며, 자는 백거(伯擧), 호는 호산(湖山)·소은(素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희남(愼喜男)이고, 할아버지는 신여경(愼餘慶)이다. 아버지는 신인(愼諲)이고, 어머니는 부사용 이용(李溶)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정랑 유동립(柳東立)의 딸 고흥 유씨(高興 柳氏)이고, 아들은 신성삼(...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김도언(金道彦)[1684~1735]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여유(汝由), 호는 운계(雲溪)·운산(雲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계종(金繼宗)이고, 할아버지는 김휘정(金輝挺)이다. 아버지는 예조좌랑 김만형(金萬衡)이고, 어머니는 조석령(趙錫齡)의 딸 배천 조씨(白川趙氏)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배명순(裵命純)[1597~1637]의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자는 수초(遂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배인범(裵仁範)이고, 할아버지는 공조참판 배흥립(裵興立)이다. 아버지는 선무랑 배시망(裵時望)이고, 어머니는 주부 신천기(申天記)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예빈시봉사 김엽(金曄)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배상경(裵尙...
-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김성은(金性溵)[1765~1830]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성연(聖淵), 호는 인일정(引逸亭)이다. 아버지는 김윤중(金允重)이며, 어머니는 김창문(金昌文)의 딸 연안 김씨(延安金氏)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학자. 권극중(權克中)[1585~16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이다. 아버지는 권준(權俊)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최서림(崔瑞林)[1632~1698]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여발(汝發), 호는 관곡(寬谷)이다. 아버지는 최윤성(崔胤聖)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화가. 송민고(宋民古)[1592~1664]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난곡(蘭谷)이다. 할아버지는 송홍(宋泓)이고, 아버지는 송유순(宋惟諄)이다. 부인은 이호민(李好閔)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서예가. 이삼만(李三晩)[1770~184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윤원(允遠)·구원(久遠), 호는 강암(强巖)·강재(强齋)·창암(蒼巖)이다. 본명은 이규환(李奎煥)이다. 전주 이씨 족보에 따르면 열일곱 살에 혼인하여 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으나 일찍 사망하였고, 후사를 잇기 위하여 셋째 동생의 아들을 양자로 들였으나 자손이 끊겨 직계는 남지...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자선가. 박잉걸(朴仍傑)[1676~1766]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여웅(汝雄), 호는 모은(慕隱)이다. 훗날 박종완(朴宗完)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박만엽(朴萬葉)이다....
-
개항기 정읍 출신의 자선가. 박민호(朴敏灝)[1821~1897]의 본관은 태안(泰安)이며, 자는 사언(士彦), 호는 요지헌(樂智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보운(朴普運)이고, 할아버지는 박상신(朴尚信)이다. 아버지는 박경로(朴景駑)이고, 어머니는 전이채(田以采)의 딸 담양 전씨(潭陽 田氏)이다. 부인은 정래효(鄭來孝)의 딸 초계 정씨(草溪 鄭氏)이고, 아들은 박기현(朴紀炫)이다....